부산광역시 영도구에는 죽천이공행정록, 복천사독성도및복장유물일괄, 복천사현왕도및복장유물일괄 등 총 25곳의 향토문화유적이 있습니다. 부산광역시 영도구에 위치한 향토문화유적의 주소, 유적종류, 유적소개, 전화번호를 포함한 최신 상세정보를 확인해 보세요.
부산광역시 영도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지도
창 한번에 지우기
자료에 위도와 경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지도에서 표시되지 않습니다.
부산광역시 영도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상세 정보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시도민속문화재 제12호
향토문화유적종류 목공예류
지정일자 2015-08-26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해련사
규모 1점
조성시대 조선후기
향토문화유적소개 일본에 파견된 조선시대 마지막 통신사였던 1811년 신미통신사행 때 사용하였던 동래부 소유 인상
전화번호 051-419-4066
관리기관명 부산광역시 영도구청 문화관광과
주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벚꽃길 117
네이버 해련사 동래부 인상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시도민속문화재 제13호
향토문화유적종류 목공예류
지정일자 2015-08-26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해련사
규모 1점
조성시대 조선후기
향토문화유적소개 나무로 조각된 26점의 불교 목공예품으로 영산재나 수륙재 등의 시련의식 때 사용되었던 것으로 판단되는 유물이다.
전화번호 051-419-4066
관리기관명 부산광역시 영도구청 문화관광과
주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벚꽃길 117
네이버 해련사 장엄의식구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시도유형문화재 제61호
향토문화유적종류 불화
지정일자 2005-12-27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복천사
규모 1점
조성시대 1892년
향토문화유적소개 지장보살과 시왕을 표현한 불화로, 1892년 경기도 관음사에서 만든 작품이며 규모가 2m에 이르는 비교적 큰 작품이고 상태가 양호하여 조선 후기 지장시왕도 도상 연구 및 화승 연구에 자료적 가치가 있다.
전화번호 051-419-4066
관리기관명 부산광역시 영도구청 문화관광과
주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산정길 41
네이버 복천사 지장시왕도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시도유형문화재 제62호
향토문화유적종류 불화
지정일자 2005-12-27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복천사
규모 1점
조성시대 1892년
향토문화유적소개 아미타여래를 중심으로 범천, 제석천상, 관음보살, 대세지보살 등이 그려진 작품으로, 1892년 관음사에서 만든 작품이며 규모가 비교적 크고 보존상태도 양호하여 조선후기 아미타극락회상도 도상 연구에 가치가 있다.
전화번호 051-419-4066
관리기관명 부산광역시 영도구청 문화관광과
주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산정길 41
네이버 복천사 아미타극락회상도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시도유형문화재 제65호
향토문화유적종류 고문서류
지정일자 2006-07-03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복천사
규모 1점
조성시대 1575년
향토문화유적소개 조상경은 조선조 승려 지탁이 찬집한 불교의식집으로 여러 경전에 산재하여 있는 불보살상의 조성에 따른 제반 의식과 절차에 관한 것을 모아 체계화 한 책이다. 이 책은 조상경의 초기 내용과 모습을 지니고 있어 불교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며, 임진왜란 이전에 간행된 책으로 서지학적으로도 귀중한 문화재로 평가된다.
전화번호 051-419-4066
관리기관명 부산광역시 영도구청 문화관광과
주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산정길 41
네이버 복천사조상경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시도유형문화재 제66호
향토문화유적종류 고문서류
지정일자 2006-07-03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복천사
규모 1점
조성시대 1579년
향토문화유적소개 선원제집도서는 중국 화엄종의 제5조인 규봉종밀성사의 만년작으로 자신이 저술한 선원제전집 전체에 대해 서문을 지은 것이며, 화엄종의 입장에서 선교일치를 주장한 내용으로 우리나라의 선교겸수 정신과 잘 어울려 크게 유통되었다. 이 책은 지리산 신흥사에서 간행한 목판본으로 선원제집도서의 초기 형태를 보여주는 책으로서 불교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전화번호 051-419-4066
관리기관명 부산광역시 영도구청 문화관광과
주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산정길 41
네이버 복천사 선원제전집도서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문화재자료 제35호
향토문화유적종류 회화류
지정일자 2005-12-27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복천사
규모 1점
조성시대 1921년
향토문화유적소개 복천사 옛 대웅전의 석가여래 좌상 뒤편 후불벽 전면에 봉안된 후불탱화로 근대 영남 지방 대불모로 활약한 금어 완호의 작품 가운데 화격이 뛰어난 석가영산회상도 중 하나이다.
전화번호 051-419-4066
관리기관명 부산광역시 영도구청 문화관광과
주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산정길 41
네이버 복천사석가영산회상도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문화재자료 제38호
향토문화유적종류 유물,유품
지정일자 2007-09-07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복천사
규모 1점
조성시대 1892년
향토문화유적소개 홀로 수행하는 성자를 그린 작품으로 조성 기문이 있어 제작 연대가 뚜렷하고 복장유물이 일괄 남아 있어 불화 연구에 자료적 가치가 있다.
전화번호 051-419-4066
관리기관명 부산광역시 영도구청 문화관광과
주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산정길 41
네이버 복천사독성도및복장유물일괄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문화재자료 제39호
향토문화유적종류 유물,유품
지정일자 2007-09-07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복천사
규모 1점
조성시대 근대
향토문화유적소개 현왕도는 사람이 죽은 후 3일 되는 날에 행하는 조선 시대 불교 천도재 가운데 하나인 현왕재에 근거하여 제작된 명계 불화이다. 화면 구성과 존 표현으로 보아 20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으로 짐작되는 불화이다.
전화번호 051-419-4066
관리기관명 부산광역시 영도구청 문화관광과
주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산정길 41
네이버 복천사현왕도및복장유물일괄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문화재자료 제49호
향토문화유적종류 불상류
지정일자 2008-12-16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복천사
규모 1점
조성시대 1922년
향토문화유적소개 1922년 완호비구에 의해 조성된 불상으로 근대 불상조각의 흐름을 알려주는 기준작이다.
전화번호 051-419-4066
관리기관명 부산광역시 영도구청 문화관광과
주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산정길 41
네이버 복천사석조석가여래및보살좌상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명승 제17호
향토문화유적종류 기타유적지(명승)
지정일자 2005-11-01
소유주체구분 국유
소유자명 부산광역시(일부국유)
규모 1640063㎡
향토문화유적소개 부산 태종대는 아름다운 암석의 단애로 이루어진 부산을 대표하는 해양경관지로, 울창한 해송 숲과 기암절벽이 조화를 이루고, 해식동굴 및 해식애 등 아름다운 지형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전화번호 051-419-4066
관리기관명 부산광역시 영도구청 문화관광과
주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전망로 316
네이버 부산 영도 태종대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보물 제961-2호
향토문화유적종류 목판본류
지정일자 2013-11-13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법화사
규모 4권1책
조성시대 조선 태종5년
향토문화유적소개 묘법연화경 권4~7은 불교의 대표적인 대승경전으로 조선 태종 5년 전라도 도솔산 안심사에서 성달생과 성개 형제가 필사한 것을 새긴 목판본 전 7권 가운데 권4~7의 1책이다.
전화번호 051-419-4066
관리기관명 부산광역시 영도구청 문화관광과
주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중복길 490
네이버 묘법연화경 권4~7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사적 제266호
향토문화유적종류 패총(사적)
지정일자 1979-07-26
소유주체구분 국유
소유자명 부산광역시(일부국유)
규모 11811㎡
조성시대 신석기
향토문화유적소개 신석기시대 사람들이 바다에서 조개류를 잡아 먹고 버림으로써 이루어진 조개무지이며, 지금까지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발견된 신석기 유적 가운데 가장 오래된 유적으로 원시무문토기, 빗살무늬토기 등 많은 유물이 수습되었다.
전화번호 051-419-4066
관리기관명 부산광역시 영도구청 문화관광과
주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태종로 729
네이버 부산 동삼동 패총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문화재자료 제108호
향토문화유적종류 전적류
지정일자 2019-02-13
소유주체구분 국유
소유자명 국립해양박물관
규모 1점
조성시대 1862년
향토문화유적소개 1862년 11월부터 1863년 5월까지 세곡수집과 운반과정을 일기형식으로 상세히 기록한 자료
전화번호 051-419-4066
관리기관명 부산광역시 영도구청 문화관광과
주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301번길 45
네이버 조행일록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문화재자료 제109호
향토문화유적종류 전적류
지정일자 2019-02-13
소유주체구분 국유
소유자명 국립해양박물관
규모 1점
조성시대 1624년
향토문화유적소개 1624년 인조의 책봉을 위해 주청사로 명나라에 다녀온 죽천 이덕형의 사행록 전권
전화번호 051-419-4066
관리기관명 부산광역시 영도구청 문화관광과
주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301번길 45
네이버 죽천이공행정록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문화재자료 제113호
향토문화유적종류 초상화
지정일자 2020-01-29
소유주체구분 국유
소유자명 국립해양박물관
규모 1점
조성시대 18세기 초
향토문화유적소개 종6품 주부 박위보의 초상이 그려진 족자형 그림으로, 1713년 왜학역관 문위행으로 대마도를 다녀온 박재창의 제사가 기록되어 있다
전화번호 051-419-4066
관리기관명 부산광역시 영도구청 문화관광과
주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301번길 45
네이버 박주부 초상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문화재자료 제118호
향토문화유적종류 불화
지정일자 2022-01-26
소유주체구분 국유
소유자명 국립해양박물관
규모 1점
조성시대 일제강점기
향토문화유적소개 1920년대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례가 드문 소형의 백의관음보살도이다.
전화번호 051-419-4066
관리기관명 부산광역시 영도구청 문화관광과
주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301번길 45
네이버 백의관음보살도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문화재자료 제121호
향토문화유적종류 목공예류
지정일자 2022-03-23
소유주체구분 국유
소유자명 국립해양박물관
규모 1점
조성시대 19세기 말
향토문화유적소개 모서리 부분이 둥글게 처리된 장방형에 뚜껑이 본체를 덮을 수 있도록 제작된 상자형 함으로, 형태 및 크기로 보아 옷이나 물품을 보관하는 용도로 19세기말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전화번호 051-419-4066
관리기관명 부산광역시 영도구청 문화관광과
주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301번길 45
네이버 나전대모쌍룡문함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시등록문화재
향토문화유적종류 불화
지정일자 2022-09-28
소유주체구분 국유
소유자명 국립해양박물관
규모 1점
조성시대 근대
향토문화유적소개 감로도는 영혼 구제의 과정을 전생에서 후생에 이르기까지 삼세의 시간을 상·중·하 삼단의 구도로 한 화폭에 표현한 불화이다.
전화번호 051-419-4066
관리기관명 부산광역시 영도구청 문화관광과
주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301번길 45
네이버 감로도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시도유형문화재 제200호
향토문화유적종류 지도
지정일자 2019-04-10
소유주체구분 국유
소유자명 국립해양박물관
규모 1점
조성시대 조선시대
향토문화유적소개 한지바탕에 한글중심으로 조선을 그린 지도이며, 18세기경의 시대상과 당대 한글 연구의 실증자료이다.
전화번호 051-419-4066
관리기관명 부산광역시 영도구청 문화관광과
주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301번길 45
네이버 한글조선전도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시도유형문화재 제208호
향토문화유적종류 회화류
지정일자 2019-07-24
소유주체구분 국유
소유자명 국립해양박물관
규모 1점
조성시대 조선시대
향토문화유적소개 조선시대 화가 이원찬의 작품으로 종이에 수묵채색으로 그려진 족자형태의 그림이다.
전화번호 051-419-4066
관리기관명 부산광역시 영도구청 문화관광과
주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301번길 45
네이버 이원찬 필 호도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시도유형문화재 제209호
향토문화유적종류 공예류
지정일자 2019-07-24
소유주체구분 국유
소유자명 국립해양박물관
규모 1점
조성시대 18세기
향토문화유적소개 소나무와 황동을 재료로 나전과 옻칠 기법 및 맞짜임으로 제작한 직사각형 상자로서 18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전화번호 051-419-4066
관리기관명 부산광역시 영도구청 문화관광과
주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301번길 45
네이버 나전칠국화모란넝쿨무늬상자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시도유형문화재 제220호
향토문화유적종류 불화
지정일자 2021-11-24
소유주체구분 국유
소유자명 국립해양박물관
규모 1점
조성시대 조선시대
향토문화유적소개 보타산가산 정토에 앉아 있는 관세음보살을 비단 바탕에 흑색을 칠한 후 그 위에 금선으로 그린 선묘불화이다.
전화번호 051-419-4066
관리기관명 부산광역시 영도구청 문화관광과
주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301번길 45
네이버 관음보살도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시도민속문화재 제19호
향토문화유적종류 유물,유품
지정일자 2018-10-31
소유주체구분 국유
소유자명 국립해양박물관
규모 1점
조성시대 1905년
향토문화유적소개 1905년 제작되어 피암리에서 사용되었다는 발문이 적힌 기년명 농기이다.
전화번호 051-419-4066
관리기관명 부산광역시 영도구청 문화관광과
주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301번길 45
네이버 농기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문화재자료 제99호
향토문화유적종류 공예류
지정일자 2017-07-19
소유주체구분 국유
소유자명 국립해양박물관
규모 1점
조성시대 17세기후~19세기전반
향토문화유적소개 17세기 후반 광주 관요 주변지역에서 생산된 것으로 추정되는 원호로, 몸통 전체를 휘감은 용과 구름을 간략화하고 해학적으로 표현, 구연을 칼로 깎아낸 후 철화를 찍어 장식했다.
전화번호 051-419-4066
관리기관명 부산광역시 영도구청 문화관광과
주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301번길 45
네이버 백자철화운룡문호 검색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