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처인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용인시 처인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및 정보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지도



  • 위치가 서로 가까운 경우는 위도와 경도가 조정되어 실제 위치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자료에 위도와 경도가 기재되어 있지 않으면 지도에서 확인할 수 없습니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표

향토문화유적명
유적종류
주소
유적구분
이숙기 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 완장천로 288-11
유형문화유적
진화 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 원암리 산38
유형문화유적
홍계희 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곡현로847번길 17-8
유형문화유적
오희문 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오산로61번길 29
유형문화유적
오명항 선생 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오산로61번길 29
유형문화유적
오도일 초상화
초상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오산로61번길 7
유형문화유적
오달제묘 및 대낭장비
묘+비석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오산리 산45-14
유형문화유적
이사주당 유한규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외대로 81
유형문화유적
이사위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이일로 107-8
유형문화유적
이일 장군 묘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이일로 107-8
유형문화유적
남구만 선생 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초부리 산1-5
유형문화유적
약천선생 별묘
건축물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파담로 70
유형문화유적
의령남씨문중고문서일괄9건
문서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파담로 70
유형문화유적
가창리 부도
부도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가창리 산 56-2
유형문화유적
안희중 효자정문
건축물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박곡리 96
유형문화유적
용천리 오층석탑
석탑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용천리 산67-11
유형문화유적
치성광여래도
회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원설로 239-19
유형문화유적
신중도
회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원설로 239-19
유형문화유적
죽산박씨 문헌공파 묘역(박원형, 박안성, 박지영 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한택로 168-3
유형문화유적
안몽윤 묘역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삼가동 28-7
유형문화유적
유복립 정려각
건축물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송문리 산124-49
유형문화유적
유복립 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송문리 산16
유형문화유적
은이성지 김가항성당
건축물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은이로 188
유형문화유적
운학동 돌무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운학동 141
유형문화유적
운학동 돌방무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운학동 190-33
유형문화유적
두창리 삼층석탑
석탑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두창리 1447-2
유형문화유적
두창리 선돌
선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두창리 2025
유형문화유적
허적 영정
영정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맹리 436
유형문화유적
목신리 보살상
조각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목신리 147-2
유형문화유적
이주국 묘 및 신도비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문촌리 산35-1
유형문화유적
남구만 선생 초상화
초상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보개원삼로1737번길 72
유형문화유적
사암리 선돌
선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사암리 1444
유형문화유적
장경사 산신탱화
회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학일리 484-9
유형문화유적
조중회 선생 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학일리 산49-1
유형문화유적
이한응 묘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덕성리 1283-8
유형문화유적
서리상반고려백자요지
요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서리 산163
유형문화유적
동도사 석불좌상
조각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어진로 842
유형문화유적
이재 선생 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천리 산58
유형문화유적
소조독존 나한상
조각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1424번길 15-14
유형문화유적
이백지 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가실리 산12-3
유형문화유적
이애와 경신 공주 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신원리 산40-11
유형문화유적
정윤복, 정호선묘 및 신도비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 416-1
유형문화유적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상세 정보

이숙기 묘
진화 묘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유적 제31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 지정일자 1992-10-1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진일장+진길장
  • 규모 1기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https://www.yongin.go.kr/synap/skin/docResrce.htmlfn=172950ec-c0c0-484b-940a-3e0a866b7f79.pdf&rs=/webcontent/convert/
  • 향토문화유적소개 진화의 본관은 여양 호는 매호이다. 묘소는 처인구 남사면 원암리 산 38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진화는 고려 신종에서 고종 연간의 문신으로 출생연도는 확실치 않으나 대략 1180년으로 추정되며 몰년은 확실치 않다. 고려 고종때 홍문관 정언과 우사간을 거쳐 지공주사 재임시 죽자 현 위치에 안장하였으나 5백여 년간 실전되었다가 1849년 후손 동오가 지석을 발견하여 유택을 복원하였다.
  • 전화번호 031-324-2098
  • 관리기관명 경기도 용인시청
  • insttNm 경기도 용인시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 원암리 산38
  • 네이버 진화 묘 검색 링크
홍계희 묘
오희문 묘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유적 제34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 지정일자 1992-10-1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오승환
  • 규모 1기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https://www.yongin.go.kr/synap/skin/docResrce.htmlfn=7abf36c4-d9fd-470a-bc73-4714c5f2d78a.pdf&rs=/webcontent/convert/
  • 향토문화유적소개 오희문(1539~1613)은 조선 중기의 학자로서 자는 비연(斐然)이고 본관은 해주이며 경민의 아들로 영의정을 지낸 윤겸의 아버지다. 그는 비록 관직에 나아가 큰 벼슬에 오르지는 못했으나 임진왜란을 직접 체험하면서 당시의 사회적 동태와 피난생활을 생생하게 기록한[쇄미록]을 남겨놓았다. 이 저술은 1591년(선조24)부터 1601년(선조34) 2월까지 약 9년 3개월간의 사실을 상세히 기록한 총7책의 일기이다.
  • 전화번호 031-324-2098
  • 관리기관명 경기도 용인시청
  • insttNm 경기도 용인시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오산로61번길 29
  • 네이버 오희문 묘 검색 링크
오명항 선생 묘
오도일 초상화
오달제묘 및 대낭장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유적 제3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묘+비석
  • 지정일자 1986-05-3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오윤환+오세윤
  • 규모 각1기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https://www.yongin.go.kr/synap/skin/docResrce.htmlfn=088254c8-5bcb-489f-89c0-19d3fbd26ebf.pdf&rs=/webcontent/convert/
  • 향토문화유적소개 오달제의 묘소는 처인구 모현면 오산리 양촌마을에 있다. 그의 묘소에는 그가 평소 차고 있던 요대와 주머니만 묻혀있다.중국 심양 땅에서 처형당한 뒤 시신조차 거두지 못했기 때문이다. 묘 앞에는 묘비와 상석향로석, 그리고 좌우에는 동자석망주석문인석 등의 석물이 있다. 묘소입구에는 그의 치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대낭장비가 있다. 이 비석은 1828년(순조28)에 오달제의 손자인 오경원에 의해 세워진 것이다.
  • 전화번호 031-324-2098
  • 관리기관명 경기도 용인시청
  • insttNm 경기도 용인시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오산리 산45-14
  • 네이버 오달제묘 및 대낭장비 검색 링크
이사주당 유한규묘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유적 제67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 지정일자 2016-01-06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진주류씨목천공파
  • 규모 1기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https://www.yongin.go.kr/synap/skin/docResrce.htmlfn=2e562561-8be7-4e7a-9197-f8bbff6bbb89.pdf&rs=/webcontent/convert/
  • 향토문화유적소개 이사주당은 조선 후기 여성으로 본관 전주, 청주 태생, 호는 사주당임. 부친은 이창식 남편은 유한규 아들은 유희이다. 조부 이함부의 가르침으로 학문에 입문하여 성리학에 대한 이해가 깊었고, 여러 저술을 남겨 여성 실학자로 평가되기도 한다. 유한규와 사별 후 용인으로 이주하여 거주하다가 83세에 별세하였다. 사주당의 대표 저작인 태교신기는 동양을 태표하는 태교서이므로 조선시대 여성의 태교 인식과 교육법을 연구하는 매우 귀중한 자료이며 현대의 태교교육 등 다방면에 활용되고 있다. 묘역은 소박하나 사주당이 남긴 무형적 유산의 가치를 고려하여 지정되었다. 이 묘는 이사주당과 유한규의 합장묘이다. 한편 남편 유한규는 목천현감을 지냈으며, 아들 유희는 언문지, 문통 등을 저술한 한글 음운학자이다.
  • 전화번호 031-324-2098
  • 관리기관명 경기도 용인시청
  • insttNm 경기도 용인시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외대로 81
  • 네이버 이사주당 유한규묘 검색 링크
이사위묘
이일 장군 묘소
남구만 선생 묘
약천선생 별묘
의령남씨문중고문서일괄9건
가창리 부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유적 제23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부도
  • 지정일자 1990-11-2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심혁태
  • 규모 1기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https://www.yongin.go.kr/synap/skin/docResrce.htmlfn=c9388a54-d2b2-45d8-a7c3-2a51277cd11c.pdf&rs=/webcontent/convert/
  • 향토문화유적소개 이 부도는 처인구 백암면 가창리 내창마을 뒷산인 수정산 기슭 정원사 입구에 있다. 그 형태는 화강암 1석의 석종형으로, 상륜부는 연주문의 보륜 받침을 둔 후 다시 연주문 받침을 두고 보주를 얹은 형식이다. 별도의 기단부는 생략되어 있고, 탑신 표면에는 명문이나 음기가 없어 누구의 부도인지 알 수 없다. 이곳 가창리 부도는 유려한 어깨선과 풍만한 배흘림 등을 보이고 있어 대략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 전화번호 031-324-2098
  • 관리기관명 경기도 용인시청
  • insttNm 경기도 용인시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가창리 산 56-2
  • 네이버 가창리 부도 검색 링크
안희중 효자정문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유적 제68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축물
  • 지정일자 2017-01-24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순흥안씨대춘공파종중
  • 규모 1동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https://www.yongin.go.kr/synap/skin/docResrce.htmlfn=fc21528b-e528-4cc5-b75c-2e52aac28da1.pdf&rs=/webcontent/convert/
  • 향토문화유적소개 안희중은 조선 후기 남성으로 본관은 순흥, 용인 태생이고, 자는 여중이다. 1750년경 백부를 비롯한 고모 등 삼남매가 일찍 세상을 뜨자 병석에 누운 할아버지를 극진히 간호함. 추운 겨울에도 목욕재계하고 기도하여 할아버지가 건강 회복. 할머니가 미친개에게 물려 위독하자 40여 일 동안 입으로 독을 빨아내어 할머니를 낫게함.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천수를 다하자 작은 아들임에도 큰 조카에게 부담을 주지 않도록 모든 장례 비용을 부담. 1794년(정조18)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벼슬과 상금을 수여. 1804년(순조4) 효자정문이 내려지고 박곡리에 정려각이 건립되었다.
  • 전화번호 031-324-2098
  • 관리기관명 경기도 용인시청
  • insttNm 경기도 용인시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박곡리 96
  • 네이버 안희중 효자정문 검색 링크
용천리 오층석탑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유적 제66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석탑
  • 지정일자 2012-08-0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경기도 용인시청
  • 규모 1기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https://www.yongin.go.kr/synap/skin/docResrce.htmlfn=533f3250-80cb-410e-ba5f-b66fdb49756b.pdf&rs=/webcontent/convert/
  • 향토문화유적소개 석탑이 위치하는 곳은 속칭 ‘불당골’마을 주변으로 MBC드라미아 입구 주변 산자락에 위치하고 있다. 원래 사지 부근에 도괴된채 방치되어 있던 것을 1978년 현재의 자리로 옮겨 복원하였다. 평면 방형 단층기단에 5층의 탑신부를 올린 형식으로 현재 5층 옥개석 이상은 남아 있지 않으며 탑신부는 전체에 비해 1층이 높은 비례를 보인다. 각층 탑신부에 우주를 새겼으며 옥개받침은 4단이다. 전체적인 양식으로 보아 고려중기 경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 전화번호 031-324-2098
  • 관리기관명 경기도 용인시청
  • insttNm 경기도 용인시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용천리 산67-11
  • 네이버 용천리 오층석탑 검색 링크
치성광여래도
신중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유적 제58-2
  • 향토문화유적종류 회화
  • 지정일자 2006-12-20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광제사
  • 규모 1매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https://www.yongin.go.kr/synap/skin/docResrce.htmlfn=3ba24ecb-54bb-41c9-943a-931968611991.pdf&rs=/webcontent/convert/
  • 향토문화유적소개 신중도는 불교탱화의 하나로서 불교의 호법정신을 묘사한 불화이다. 이 탱화는 좌측을 향하여 합장하고 있는 제석천과 위태천을 뒤쪽에 나란히 배치한 뒤 하단에는 무장한 팔부신중을 배치하였고, 상단에는 동자상을 그려 넣은 제석, 천룡도이다. 이 불화는 19세기 이후의 신중도상을 충실히 따르고 있는 불화로서 색체 또한 적,청색 위주로 거의 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 전화번호 031-324-2098
  • 관리기관명 경기도 용인시청
  • insttNm 경기도 용인시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원설로 239-19
  • 네이버 신중도 검색 링크
죽산박씨 문헌공파 묘역(박원형, 박안성, 박지영 묘)
안몽윤 묘역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유적 제69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 지정일자 2017-01-24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순흥안씨순원군공파종중
  • 규모 1기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https://www.yongin.go.kr/synap/skin/docResrce.htmlfn=911e5fdb-41e9-4049-8d24-d5590682d17b.pdf&rs=/webcontent/convert/
  • 향토문화유적소개 안몽윤은 조선시대 무관으로서 인조 때 이괄의 난 진압에 공을 세워 진무공신 3등에 책훈되고 순양군에 봉해졌습니다. 이 후 경상우 병마절도사, 포도대장, 지중추부사 등을 지내고 1650년 별세하자 순양부원군에 추증되었습니다. 안몽윤의 묘는 방형봉토분이고 묘비, 망주석, 문인석, 동자석, 호석, 상석, 향로석 등 사대부 묘의 전형을 보여주는 석물 구성이 잘 보존되어 있고, 부인 한산이씨 묘지와 명기가 출토되어 분묘의 주인공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전화번호 031-324-2098
  • 관리기관명 경기도 용인시청
  • insttNm 경기도 용인시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삼가동 28-7
  • 네이버 안몽윤 묘역 검색 링크
유복립 정려각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유적 제41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축물
  • 지정일자 1997-12-10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유강희
  • 규모 1매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https://www.yongin.go.kr/synap/skin/docResrce.htmlfn=df29fdb6-9c5a-4ab6-95d5-00871c800552.pdf&rs=/webcontent/convert/
  • 향토문화유적소개 유복립(1558~1593)의 본관은 전주이고 자는 군서이며 호는 묵계로 조선초기의 문신 유의손의 후손이다. 1558년 현 안동시 임동면 수곡리에서 출생하여 종부시 주부로 관직에 올랐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당시 진주성을 지키고 있던 외삼촌인 경상우도관찰사 학봉 김성일 휘하에 들어가 왜군에 대비하였다. 이듬해 1593년 김성일이 성을 사수하라는 유서를 남기고 병사하자 왜군에 맞서 분전하였으나 6월 29일 순절하였다. 1729년 명정(命旌)되어 현재 위치에 정려문이 세워졌다.
  • 전화번호 031-324-2098
  • 관리기관명 경기도 용인시청
  • insttNm 경기도 용인시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송문리 산124-49
  • 네이버 유복립 정려각 검색 링크
유복립 묘
은이성지 김가항성당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유적 제71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축물
  • 지정일자 2020-03-13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천주교수원교구유지재단(은이성지)
  • 규모 1동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https://www.yongin.go.kr/synap/skin/docResrce.htmlfn=128e990f-79d7-47c1-95d8-02b9f36ef31c.pdf&rs=/webcontent/convert/
  • 향토문화유적소개 은이성지 김가항 성당은 한국인 최초의 사제인 김대건 신부가 1845년 8월 사제 서품을 받은 성당이다. 김대건은 모방 신부에 의해 신학생으로 선발되어 마카오로 유학하였다. 1845년 8월 상해 김가항 성당에서 페레올 주교로부터 사제 서품을 받았다. 조선인 최초의 사제로서 서울에 도착한 1845년 11월부터 선교사 입국로 개척을 위해 다시 떠난 1846년 5월까지 서울과 용인 일대에서 사목활동을 하였다. 김가항 성당은 17세기 중반 중국 상해의 김가항에 민가건축을 개조해 만든 성당으로 1841년에는 남경교구의 중심이었으나 2001년 상해 정부의 도시개발에 따라 철거되었다. 철거 직전, 성당에 대한 실측을 실시하고 기둥과 대들보 등 일부 부재를 가져와 2016년에 김대건 신부가 사목활동을 한 이 곳에 복원하게 되었다.
  • 전화번호 031-324-2098
  • 관리기관명 경기도 용인시청
  • insttNm 경기도 용인시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은이로 188
  • 네이버 은이성지 김가항성당 검색 링크
운학동 돌무지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유적 제42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 지정일자 1997-12-10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김극대
  • 규모 1기
  • 조성시대 미상
  • 이미지정보 https://www.yongin.go.kr/synap/skin/docResrce.htmlfn=4052d8e2-1d80-4e28-90e4-581450c4e67c.pdf&rs=/webcontent/convert/
  • 향토문화유적소개 이 돌무지의 형태는 전면 하단에는 견치석과 같이 크고 모난 돌로 쌓았으며 상단은 잡석으로 덮여 있으며, 후면보다는 동쪽이 잘 보존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에 대해서 성황당 돌무더기로 보기도 하나 적석의 의도성이라든가 인근에 위치한 돌방무덤과 비교해 볼 때 돌무지무덤으로 볼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매년 초순 제관을 뽑고 길일을 택하여 소를 제물로 쓰는 큰 제사를 지내고 있으며 돌무지의 훼손과 부정한 행위를 금하고 마을에서 매우 신성시하는 것으로 볼 때 마을신앙적 성격이 짙은 것으로 보인다.
  • 전화번호 031-324-2098
  • 관리기관명 경기도 용인시청
  • insttNm 경기도 용인시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운학동 141
  • 네이버 운학동 돌무지 검색 링크
운학동 돌방무덤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유적 제43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 지정일자 1997-12-10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채영란
  • 규모 1기
  • 조성시대 삼국시대
  • 이미지정보 https://www.yongin.go.kr/synap/skin/docResrce.htmlfn=312a6257-9ab2-4cb3-adb8-a9752385a3aa.pdf&rs=/webcontent/convert/
  • 향토문화유적소개 무덤은 오래 전에 도굴되어 천장석이 일부 파괴되었지만 현 상태에서 원형을 추정해 보면 묘의 방향은 동서남향이며, 벽은 60~70cm정도의 할석으로 동그랗게 내경시켜 쌓아 올린 궁륭상의 횡혈식 돌방무덤으로 보인다. 천장은 길이 2m, 두께 30cm정도의 넓은 자연석을 약간 다듬어서 이용하였다. 묘실의 길이는 150cm이상, 폭은 140cm정도이며, 천장에서 바닥까지의 높이는 150cm이다. 삼국시대의 고분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주변에 대한 정밀한 조사를 통해 보다 정확한 유적의 성격을 확인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전화번호 031-324-2098
  • 관리기관명 경기도 용인시청
  • insttNm 경기도 용인시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운학동 190-33
  • 네이버 운학동 돌방무덤 검색 링크
두창리 삼층석탑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유적 제19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석탑
  • 지정일자 1990-11-2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목갑균
  • 규모 1기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https://www.yongin.go.kr/synap/skin/docResrce.htmlfn=27f1bef8-3750-462e-8529-a3fe58fae4b6.pdf&rs=/webcontent/convert/
  • 향토문화유적소개 이 삼층석탑은 본래 처인구 원삼면 두창리(안골) 1439번지 논 가운데 있었던 것을 1989년 저수지의 제방 축조공사 때 현재의 위치로 이전해 놓은 것이다. 이 석탑은 어느 폐사지에 있었던 것으로 추측되는데, 오랫동안 마을 입구에서 이정표 구실을 해오면서 마을사람들에 의하여 수호되어 왔다. 현재 기단부 원형은 알 수 없으며, 갑석 위에 1,2층과 3층 탑신석까지만 놓여져 있다. 탑신석에는 우주가 희미하게 모각되어 있다. 고려시대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 전화번호 031-324-2098
  • 관리기관명 경기도 용인시청
  • insttNm 경기도 용인시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두창리 1447-2
  • 네이버 두창리 삼층석탑 검색 링크
두창리 선돌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유적 제39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선돌
  • 지정일자 1997-12-10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목갑균
  • 규모 1기
  • 조성시대 청동기시대
  • 이미지정보 https://www.yongin.go.kr/synap/skin/docResrce.htmlfn=27528bd8-246d-48ac-acd3-1a82313ebd41.pdf&rs=/webcontent/convert/
  • 향토문화유적소개 이 선돌은 1996년 1월24일 용인문화원 부설 향토문화연구소에서 두창리 소재 3층석탑 조사과정에서 발견되었다. 가공된 흔적이 없는 자연석으로 방향은 정동쪽을 향해 세워져있다. 이전에는 매년 정월 보름날 제를 지낸 후 가가호호에서 호주의 성명과 생년월일을 적은 백지를 불사르는 행사가 행하여 졌으며 불공을 드리거나 만신이 왼새끼를 꼬아 돌에 돌리고 푸닥거리를 했었다고 하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 전화번호 031-324-2098
  • 관리기관명 경기도 용인시청
  • insttNm 경기도 용인시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두창리 2025
  • 네이버 두창리 선돌 검색 링크
허적 영정
목신리 보살상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유적 제55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조각
  • 지정일자 2001-12-20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오완영
  • 규모 1구
  • 조성시대 고려시대
  • 이미지정보 https://www.yongin.go.kr/synap/skin/docResrce.htmlfn=0b529732-eef2-4068-9570-41cd77553cf5.pdf&rs=/webcontent/convert/
  • 향토문화유적소개 조선시대에 목신리 구봉마을은 본래 양지현 목악면 장승동이라고 불리었다. 바로 이 불상이 있는 언덕길 마을입구에 장승이 있었기 때문이다. 마을에서는 초당안에 안치되어 있는 이 불상을 미륵불로 불렀으며, 일명 언청이 미륵이라고도 한다. 보개를 쓰고 있어 미륵불로 불리나 자세히 보면 화불이 조각되어 있어 관음보살상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하체는 매몰되어 있고, 좁은 전각 안에 자리하고 있어 원형을 확인하기 어렵다. 매년 음력 10월 10일 마을에서 동제를 지낸다.
  • 전화번호 031-324-2098
  • 관리기관명 경기도 용인시청
  • insttNm 경기도 용인시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목신리 147-2
  • 네이버 목신리 보살상 검색 링크
이주국 묘 및 신도비
남구만 선생 초상화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유적 제6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초상화
  • 지정일자 1990-11-2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의령남씨종중
  • 규모 1매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https://www.yongin.go.kr/synap/skin/docResrce.htmlfn=ee05d8ec-21f8-44a8-97e3-050d595b3e75.pdf&rs=/webcontent/convert/
  • 향토문화유적소개 남구만의 초상은 모현면 갈담리 파담마을 남춘희씨 댁에 전한다. 본래 남구만의 초상은 5본이 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충청도 해미의 영당에 봉안하였다는 초상은 실전되었다. 현존하는 것은 국립박물관 소장본 1본과 갈담리의 가묘본 3본 뿐이다. 이 초상은 그가 영의정에 재임할 때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유복차림의 반신상은 가묘본의 전신상을 옮겨 그린 것으로 상단의 왼쪽에는 최석정의 찬문이 있는데 현손 남진화가 추서한 것이다.
  • 전화번호 031-324-2098
  • 관리기관명 경기도 용인시청
  • insttNm 경기도 용인시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보개원삼로1737번길 72
  • 네이버 남구만 선생 초상화 검색 링크
사암리 선돌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유적 제22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선돌
  • 지정일자 1990-11-2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국(국토교통부)
  • 규모 3기
  • 조성시대 청동기시대
  • 이미지정보 https://www.yongin.go.kr/synap/skin/docResrce.htmlfn=18d1cfe3-cf19-4d65-b2fe-610794447285.pdf&rs=/webcontent/convert/
  • 향토문화유적소개 처인구 원삼면 사암리 안골부락 입구의 서쪽 밭 가장자리에 위치한 이 선돌은 마치 원통형의 돌을 세쪽으로 쪼개어 놓은 모양이다. 이 돌들은 3개의 돌이 정동(正東)을 향하여 횡렬로 배열되었다는 점이주목되는데, 이는 같은 크기의 돌을 거의 같은 간격을 두고 세웠다는데 의미를 둔다면 열석의 한 예 일수도 있기 때문이다. 현재 이지역은 ‘선돌뱅이’로 불려지고 있는데 ‘선돌이 박혀있는 곳’이라는 뜻에서 연유한 것이다.
  • 전화번호 031-324-2098
  • 관리기관명 경기도 용인시청
  • insttNm 경기도 용인시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사암리 1444
  • 네이버 사암리 선돌 검색 링크
장경사 산신탱화
조중회 선생 묘
이한응 묘소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유적 제49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 지정일자 1999-07-14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조남준
  • 규모 1기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https://www.yongin.go.kr/synap/skin/docResrce.htmlfn=afcdb7b2-900b-4c2f-bef3-3eb96511ac02.pdf&rs=/webcontent/convert/
  • 향토문화유적소개 이한응 열사의 자는 경천(敬天)이고 호는 국은(菊隱)이며 본관은 전의로서 처인구 이동면에서 출생하였다. 전해오는 유품으로는 친필유서, 일지, 유방첩 등이 있다. 16세때 관립영어학교를 졸업하고 21세에는 성균관 진사시험에 합격하였으며, 28세 때인 1901년(광무2) 3월 주한 영국벨기에 양국공사관의 참사관으로 부임하였으며 1902년에는 공사 민영돈이 귀국함에 따라 특명서리공사로 임명되었다. 영국에서 외교관으로 있는 동안 대한제국의 위상을 고양시키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1905년(광무9) 32세로 순절하였다.
  • 전화번호 031-324-2098
  • 관리기관명 경기도 용인시청
  • insttNm 경기도 용인시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덕성리 1283-8
  • 네이버 이한응 묘소 검색 링크
서리상반고려백자요지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유적 제45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요지
  • 지정일자 1997-12-10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이종만
  • 규모 1기
  • 조성시대 고려시대
  • 이미지정보 https://www.yongin.go.kr/synap/skin/docResrce.htmlfn=d2e1822c-a5f8-4d8c-a4e4-f1fb4051c276.pdf&rs=/webcontent/convert/
  • 향토문화유적소개 이 백자요지는 처인구 이동면 서리547번지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넓게 자리하고 있다. 용인관내에는 고려시대의 가마터가 여러 곳에 분포하는데 사적 329호인 서리고려백자요지에서 가까운 상반마을에 이 요지가 자리하고 있다. 2001년도부터 5차에 걸쳐 발굴조사를 완료했으며 53m에 달하는 가마터와 수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는데 그 결과 10~11세기에 운영된 가마터로 확인되었다. 가마터에서 수습된 도자기의 파편을 보면 일상용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을 통해 용인지역이 고려백자의 발전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곳이었음을 입증해주고 있다.
  • 전화번호 031-324-2098
  • 관리기관명 경기도 용인시청
  • insttNm 경기도 용인시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서리 산163
  • 네이버 서리상반고려백자요지 검색 링크
동도사 석불좌상
이재 선생 묘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유적 제35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 지정일자 1992-10-1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지희천
  • 규모 1기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https://www.yongin.go.kr/synap/skin/docResrce.htmlfn=6da28f92-0a92-4850-ba56-fa9af2ea7621.pdf&rs=/webcontent/convert/
  • 향토문화유적소개 이재(1680~1746)는 조선 영조 때의 학자로 자는 희경이고 호는 도암한천이며 본관은 우봉이다. 김창협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숙종28년 알성문과에 급제한 뒤 검열이 되었으며 단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했다. 저서로서 『도암집』, 『주자오류초절』, 『존양록』, 『사례편람』 등을 남겼으며, 서화에도 능했다. 특히 『사례편람』은 조선 후기는 물론 현대에 이르기까지 관혼상제의 지침서로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 전화번호 031-324-2098
  • 관리기관명 경기도 용인시청
  • insttNm 경기도 용인시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천리 산58
  • 네이버 이재 선생 묘 검색 링크
소조독존 나한상
이백지 묘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유적 제57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 지정일자 2006-07-3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용인이씨종중(이광섭)
  • 규모 1기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https://www.yongin.go.kr/synap/skin/docResrce.htmlfn=d92fadee-266a-4f48-940e-f08f39cd4b05.pdf&rs=/webcontent/convert/
  • 향토문화유적소개 이백지(1361~1419) 묘소 앞에는 묘비와 상석, 향로석, 그리고 좌우에 망주석, 문인석 및 신도비가 있다. 묘비는 건립연대가 1705년 당시 경기도관찰사였던 이세재가 撰하고 書하였다. 공의 본관은 용인으로 용인이씨 중시조 구성부원군 충숙공 중인의 손자이며 개성유후 사위의 아들이다. 조선 태종때 청백리로 녹선되었다. 신도비는 용인이씨 대종회가 1975년 10월에 세웠다.
  • 전화번호 031-324-2098
  • 관리기관명 경기도 용인시청
  • insttNm 경기도 용인시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가실리 산12-3
  • 네이버 이백지 묘 검색 링크
이애와 경신 공주 묘
정윤복, 정호선묘 및 신도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유적 제47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 지정일자 1999-01-2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정창진
  • 규모 각2기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https://www.yongin.go.kr/synap/skin/docResrce.htmlfn=38778d24-bddc-4110-a286-e98546b55f1e.pdf&rs=/webcontent/convert/
  • 향토문화유적소개 정윤복 선생은 조선중기 문신으로 본관은 나주이고 자는 개석(介錫)이다. 묘소에는 상석, 표석 및 망주석, 문인석 등이 있다. 정윤복 묘소 좌측에 모셔진 정호선 선생 역시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자는 사우(士優)이고 호는 동원(東園)으로 정윤복의 아들이다. 정윤복의 신도비는 1619년(광해군11)에 세웠는데 비문은 성균관 대사성 정경세가 지었다. 정호선의 신도비는 1802년 세웠으며 비문은 춘추관 이준이 짓고 사간원 윤필병이 글을 쓰고 전액하였다.
  • 전화번호 031-324-2098
  • 관리기관명 경기도 용인시청
  • insttNm 경기도 용인시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 416-1
  • 네이버 정윤복, 정호선묘 및 신도비 검색 링크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설명

똑똑장소찾기 앱 리스트




문의처

이메일: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