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가평군에는 화담당 경화탑, 중종대왕태봉, 강영천 효자문 등 총 13곳의 향토문화유적이 있습니다. 경기도 가평군에 위치한 향토문화유적의 주소, 유적종류, 유적소개, 전화번호를 포함한 최신 상세정보를 확인해 보세요.
경기도 가평군 향토문화유적 목록 지도
창 한번에 지우기
자료에 위도와 경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지도에서 표시되지 않습니다.
경기도 가평군 향토문화유적 목록 표
향토문화유적명 유적종류
주소 유적구분
용인이씨 묘역 및 이보혁 신도비 묘역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대곡리 396 기념물
열부나주정씨정려각 유교건축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복장리 300-2 유형문화유적
장원한 정려각 유교건축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북한강변로 311 유형문화유적
중종대왕태봉 유물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상색리 산112 유형문화유적
유몽인선생묘역 묘역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하색리 산 80 기념물
가평향교 유교건축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향교로 23-1 유형문화유적
강영천 효자문 유교건축
경기도 가평군 북면 적목리 372 유형문화유적
적목리 공동생활유적 주거지
경기도 가평군 북면 적목리 산 1-28 기념물
경현단 유교건축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선촌리 산 70 기념물
별묘 유교건축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유명로 857 유형문화유적
삼충단 근대인물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운악리 산162-27 유형문화유적
화담당 경화탑 불교건축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현등사길 34 유형문화유적
현등사 불교건축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현등사길 34 유형문화유적
경기도 가평군 향토문화유적 목록 상세 정보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문화재 제8호
향토문화유적종류 유교건축
지정일자 1998-06-17
소유주체구분 사유
규모 1동
조성시대 조선
향토문화유적소개 열부 나주정씨는 남편이 죽자 3개월 동안 빈소를 지키다가 남편의 장례 하루 전에 순절함. 이와 같은 애틋한 정절의 사연이 조정까지 전해져 1891년 열부정문을 하사받음.
전화번호 031-585-4320
관리기관명 경기도 가평군청
주소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복장리 300-2
네이버 열부나주정씨정려각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문화재 제9호
향토문화유적종류 유교건축
지정일자 1998-06-17
소유주체구분 사유
규모 1동
조성시대 조선
향토문화유적소개 어머니가 작고하실 때 장원한의 나이가 80세의 고령인데도 불구하고 3년상을 극진히하여 1863년에 효자 정문이 내려졌음.
전화번호 031-585-4320
관리기관명 경기도 가평군청
주소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북한강변로 311
네이버 장원한 정려각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문화재 제6호
향토문화유적종류 유물
지정일자 1986-06-19
소유주체구분 국유
소유자명 국립중앙박물관
규모 2점
조성시대 조선
향토문화유적소개 중종대왕태봉(中宗大王胎封)은 조선조 11대 임금인 중종(1506~1544)의 태(胎)를 모신 곳으로 조선시대 태봉의 구조를 학습할 수 있는 귀중한 유적임.
전화번호 031-585-4320
관리기관명 경기도 가평군청
주소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상색리 산112
네이버 중종대왕태봉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기념물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문화재 제14호
향토문화유적종류 묘역
지정일자 2017-08-21
소유주체구분 사유
규모 2개소
조성시대 조선
향토문화유적소개 조선중기 문신이자 문장가인 유몽인과 아들 유약의 묘역이다. 유몽인의 본관은 고흥으로, 자는 응문應文, 호는 어우당於于堂·간재艮齋·묵호자默好子이다. 1589년 증광문과에 장원급제하였고, 1592년 명나라에 사신으로 가던 중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세자 광해군을 따랐으며 이후 한성부좌윤·대사간 등을 지냈다. 1617년 인목대비의 폐모론을 반대하여 관직에서 물러났다가 1623년 인조반정이 발생하자 광해군의 복위를 꾸민다는 무고誣告로 아들과 함께 사형되었다. 1794년 정조正祖 대에 이를러 신분이 복원되면서 의정義貞이란 시호를 받았으며 이조판서에 추대되었다. 저서로 어우야담於于野談과 어우집於于集을 남겼는데 특히 어우야담은 조선 후기에 유행한 설화집의 효시로, 문장이 과감하고 획기적인 작품으로 평가되는 문학집이다. 유몽인 묘는 봉분 앞에 부인인 고령신씨의 묘가 조성 된 1619년에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상석과 좌우로 문인석이 각각 1기씩 서 있고 우측에 2008년에 세운 비석이 있다. 유약의 묘는 2008년 새로이 조성하였다.
전화번호 031-585-4320
관리기관명 경기도 가평군청
주소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하색리 산 80
네이버 유몽인선생묘역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문화재 제2호
향토문화유적종류 유교건축
지정일자 1986-05-02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경기도향교재단
규모 1개소 5동
조성시대 조선
향토문화유적소개 1398년(태조 7년) 세워져 병자호란 때 소실되었으며 이후 1950년 한국전쟁 때 대성전이 또 소실되어 휴전 후에 구남면사무소 건물을 헐어다 건축하였음. 현재의 건물로는 대성전, 서무, 내삼문, 제실, 명륜당이 있어 전통 향교의 원형을 갖추고 있음.
전화번호 031-585-4320
관리기관명 경기도 가평군청
주소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향교로 23-1
네이버 가평향교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문화재 제5호
향토문화유적종류 유교건축
지정일자 1986-06-19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가평군
규모 1동
조성시대 조선
향토문화유적소개 효자 강영천은 숙종때 효자로 숙종대왕이 효자포상을 하사하고 효자문을 1700년(숙종 26) 건립하였으나 세월이 흐르는 동안 멸실된 것을 1987년도에 복원한 것임.
전화번호 031-585-4320
관리기관명 경기도 가평군청
주소 경기도 가평군 북면 적목리 372
네이버 강영천 효자문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기념물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문화재 제13호
향토문화유적종류 주거지
지정일자 2015-12-31
소유주체구분 국유
소유자명 경기도
규모 2개소
조성시대 일제강점기
향토문화유적소개 일제강점기에 징용을 피해 모여든 주민들이 산기슭 곳곳에 반지하식 움집을 짓고 공동생활을 하던 곳으로, 목탄생산과 경춘철도에 소요되는 침목조달을 하며 광복이후까지 거처하던 가옥터와 막사, 망을 보던 장대 등이 남아있음.
전화번호 031-585-4320
관리기관명 경기도 가평군청
주소 경기도 가평군 북면 적목리 산 1-28
네이버 적목리 공동생활유적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기념물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문화재 제3호
향토문화유적종류 유교건축
지정일자 1986-05-02
소유주체구분 사유
규모 1개소
조성시대 조선
향토문화유적소개 조선시대의 성리학자로서 이름 높았던 조광조를 비롯한 12유현을 모신 제단으로 본래 이곳은 조선 현종 2년(1661)에 창건된 미원서원이 있던 자리임.
전화번호 031-585-4320
관리기관명 경기도 가평군청
주소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선촌리 산 70
네이버 경현단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문화재 제10호
향토문화유적종류 유교건축
지정일자 1998-06-17
소유주체구분 사유
규모 1동
조성시대 조선
향토문화유적소개 별묘는 남도진(1674∼1735)의 영정을 모신 사당으로 예조판서 남정철(1840~1916)이 1888년 2월 7일 현 위치에 사당을 건립하였음.
전화번호 031-585-4320
관리기관명 경기도 가평군청
주소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유명로 857
네이버 별묘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문화재 제12호
향토문화유적종류 근대인물
지정일자 1998-06-17
소유주체구분 국유
소유자명 가평군
규모 1개소
조성시대 일제강점기
향토문화유적소개 삼충단은 조병세, 민영환, 최익현 세 분 충신의 충절을 기리는 제단임.
전화번호 031-585-4320
관리기관명 경기도 가평군청
주소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운악리 산162-27
네이버 삼충단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문화재 제1호
향토문화유적종류 불교건축
지정일자 1986-05-02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대한불교 조계종 현등사
규모 1기
조성시대 조선
향토문화유적소개 조선후기의 현등사 승려 화담당(1786-1848)의 부도탑으로 기단석 뒷면 명문을 보아 입적한 해인 1848년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음.
전화번호 031-585-0707
관리기관명 현등사
주소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현등사길 34
네이버 화담당 경화탑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문화재 제4호
향토문화유적종류 불교건축
지정일자 1986-05-02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대한불교 조계종 현등사
규모 1개소
조성시대 통일신라~조선
향토문화유적소개 1927년 안석연이 자료를 수집·편집하여 완성한『봉선사본말사지』에 따르면 신라 법흥왕 때 인도승 마라가미가 중국을 거쳐 신라로 왔는데, 법흥왕이 그를 맞이하여 큰 가람을 세우고 그 산을 운악이라 하였다 하여 이때 사찰이 처음 세워진 것으로 전함. 이후 고려 후기 보조국사 지눌이 절을 짓고 현등사라 편액 하였고 그 후 1411년(태종 11) 함허대사가 중창함. 1823년(순조 23)에 화재로 소실되어 이듬해에 다시 중건하였고 1916년에 다시 중수함.
전화번호 031-585-0707
관리기관명 현등사
주소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현등사길 34
네이버 현등사 검색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