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장안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수원시 장안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및 정보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지도



  • 위치가 서로 가까운 경우는 위도와 경도가 조정되어 실제 위치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자료에 위도와 경도가 기재되어 있지 않으면 지도에서 확인할 수 없습니다.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표

향토문화유적명
유적종류
주소
유적구분
미륵당
건조물 및 조각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1220번길 46
유형문화유적
만석거
저수지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송죽동 305
기념물
이고 묘역
무덤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하광교동 산51-1
기념물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상세 정보

미륵당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수원시향토유산제05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및 조각
  • 지정일자 1986-04-08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이석재
  • 규모 1동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http://www.suwon.go.kr/web/visitsuwon/tour/cultureTour/cultureTourView.do?categoryCd=1064&mstSeqNo=424996
  • 향토문화유적소개 마을 수호신으로 믿어지던 미륵불이 모셔져 있는 집으로 1959년에 새롭게 단장하면서 법화당(法華堂)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사방 1칸 주칸 3.1m의 벽돌로 축조된 작은 건물이며 지붕은 맞배이다. 현재 미륵불은 상반신만 드러나 있고 하반신은 거의 매몰된 상태이다. 상체 부문의 높이만 약 244cm 가슴 폭 107cm 머리 높이 114cm정도이며 화강암으로 만들어졌다. 전반적으로 토속적인 조각 수법에 친근감을 주는 특징이 있어 조선중기 이후 민간신앙과 결합된 미륵불상으로 파악된다
  • 전화번호 031-228-2413
  • 관리기관명 경기도 수원시
  • insttNm 경기도 수원시
  • 주소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1220번길 46
  • 네이버 미륵당 검색 링크
만석거
  • 향토문화유적구분 기념물
  • 문화유적지정번호 수원시향토유산제14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저수지
  • 지정일자 2006-12-26
  • 소유주체구분 국유
  • 소유자명 경기도 수원시
  • 규모 일원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http://www.suwon.go.kr/web/visitsuwon/tour/cultureTour/cultureTourView.do?categoryCd=1064&mstSeqNo=424987
  • 향토문화유적소개 만석거(萬石渠)는 장안문 북쪽의 황무지를 개간하고 안정된 농업경영을 위한 수리시설로서 1795년(정조 19) 축조되었으며 일왕저수지나 조기정방죽나 북지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만석거는 정조대왕 때 최신의 수문과 수갑을 설치하였으며 여기에 모인 물을 농업용수로 이용하여 대규모 농장인 대유둔(北屯)을 설치하여 풍요로움을 누리고자 했던 곳이다. 호수에는 연꽃을 심었으며 호수 남단의 약간 높은 곳에는 정자인 영화정(迎華亭)을 세워 만석거 부근을 조망할 수 있도록 배치하였다. 만석거는 예로부터 농업용수로 중요하게 사용되었고 주변 경관 또한 아름다워 누렇게 익은 벼가 황금 물결을 이루는 풍경은 ‘석거황운(石渠黃雲)’이라하여 ‘수원 추팔경’(수원의 아름다운 가을 풍경)에 하나로 꼽았다. 2017년 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아 국제관개배수위원회(ICID)의 세계관개시설물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전화번호 031-228-2413
  • 관리기관명 경기도 수원시
  • insttNm 경기도 수원시
  • 주소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송죽동 305
  • 네이버 만석거 검색 링크
이고 묘역
  • 향토문화유적구분 기념물
  • 문화유적지정번호 수원시향토유산제22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무덤
  • 지정일자 2007-06-03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여주이씨종중
  • 규모 일원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http://www.suwon.go.kr/web/visitsuwon/tour/cultureTour/cultureTourView.do?categoryCd=1064&mstSeqNo=424981
  • 향토문화유적소개 이고(李皐 1338~1420)의 본관은 여주이고 호는 망천이며 사온령공 이윤방의 아들이다. 고려 말 관직에 나아가 한림원학사에 올랐으나 고려가 쇠망해 가자 수원으로 내려와 은거하였다. 수원에서 널리 알려진 팔달산 · 권선구 등의 지명은 모두 이고와 관련된 것이고 1795년 정조가 묘역에 치제하면서 ‘팔달산주인’으로 일컬어 수원의 대표적인 인물로 알려지게 되었다. 묘역에는 후대에 마련한 것으로 추정되는 혼유석 · 상석 · 향로석과 1733년(영조 9)에 건립한 묘표가 있다.
  • 전화번호 031-228-2413
  • 관리기관명 경기도 수원시
  • insttNm 경기도 수원시
  • 주소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하광교동 산51-1
  • 네이버 이고 묘역 검색 링크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설명

똑똑장소찾기 앱 리스트




문의처

이메일: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