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토문화유적소개 조선 개국공신인 의안대군 이화(李和: ~1408)의 사당이다. 현재 이 사당(祠堂)에는 의안대군과 그의 아들 좌명1등공신 완천군(完川君), 손자 좌명2등공신 하령군(河寧君) 등 세 분의 위패를 함께 모셔 후손들이 제향하고 있다. 사당 입구에는 3문을 세웠으면 그 주변은 담장을 두르고 사당을 보호하게 했다. 3문은 맞배지붕 1간씩이고, 사당은 맞배지붕에 한식 골기와를 얹었다.
향토문화유적소개 조선중기 문신인 남선(南銑: 1582~1654)의 묘이다. 묘역은 청학리에 정부인 팔창도씨(八菖都氏)와 합장묘로 북동향하고 있다. 봉분 앞에는 혼유석 상석과 장대석, 향로석 문인석을 놓았으며, 월두형 묘표가 있다.신도비는 대제학 김육(金堉)이 비문을 지은 것으로 원래 것은 한국전쟁때 파손되어 방치되고 있으며 현재의 것은 1990년 새로 건립하여 세웠다.
향토문화유적소개 남구는 개국공신 남재(南在)의 증손자로, 간성군수와 강릉진관 병마첨절제사를 역임하였으며, 사후에 호조참판겸 동지의금부 오위도총부 부종관에 증직되었다. 묘역은 남재묘역 뒷산에 동남향하여 숙인 광릉 안씨 묘를 뒤에 두고 있다. 묘표 전면에는 “通訓大夫行杆城郡守南之墓 淑人廣陵安氏之墓”, 후면에는 “大明成化丁酉堅正德己巳葬于 忠景公南在之墓下” 라 쓰여져 있다. 이 묘표는 1477년(成化丁酉, 성종8)에 건립되었다고 판단되며 충정공 남재의 묘 아래에 장례를 하였다는 기록으로 증조부인 남재 묘역과 연관지으려했음을 알 수 있다. 좌우에 문인석이 있는데 몸집이 크고 장대하며 통비형으로 조각상태가 우수하다.
향토문화유적소개 조선초기 문신인 조말생(趙末生: 1370~1447)의 묘이다. 대학자로 특히 글씨가 매우 뛰어났다. 선생의 묘소는 본래 금곡동 묘적산 끝자락에 있었는데 고종의 홍릉 천장으로 인해 수석동으로 이장하였다. 한강을 바라보는 묘소에는 원형의 둘레석이 봉분을 보호하고 있으며 묘비와 석양의 호석이 있고 장명동, 망주석, 문인석이 배치되어 있다.
향토문화유적소개 전릉부원군 류의의 묘는 증정경부인 교하노씨와 합장묘이며, 상석, 향로석 등이 있다. 묘비는 구름무늬와 연꽃무늬가 새겨진 장방형의 비대석(碑臺石) 위에 하나의 돌에 비문을 쓰고 용의 모양을 조각하였다. 묘비는 홍문관부제학지제교 이민구가 짓고 병조판서 김좌명이 전자체를 병서하여 1663년에 세웠으나, 6.25 전쟁 당시 총격으로 파괴되어 1982년 복원하였다. 전평군 류심의 묘는 정부인 영월엄씨와 합장묘이다. 상석, 향로석, 망주석, 등 석물이 있다. 묘비는 벗인 숭록대부판중추부사 강백년(姜栢年)이 짓고 아들 상주목사 류이승(柳以升)이 써서 1694년에 세웠다.
향토문화유적소개 윤천뢰(尹天賚: 1617~1695)는 조선 후기 무신으로 본관은 파평(坡平)이며, 자는 대여(代餘)이다. 묘역은 별내면 화접리에 있으며 봉분(封墳)은 단분(單墳)으로 정부인(貞夫人) 초계정씨(草溪鄭氏)와의 합장묘이다. 원형호석을 둘렀으며 호석 전면의 중앙에는 ‘乙’ 자를 새기고, 후면 중앙에는 ‘辛’ 자를 새겨 이 묘역이 신좌을향(辛坐乙向)의 좌향을 가지고 있음을 기록하고 있다.
향토문화유적소개 이춘원(1571∼1634)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본관은 함평(咸平)이며 초명이 신원(信元), 자는 원길(元吉), 호는 구원(九元)이다. 묘역은 정부인 해평 윤씨와 합장묘로 동향하고 있다. 원형봉분에 활개를 갖추고 있으며 새로 호석을 두르고, 그 앞에 혼유석, 복고석 위에 상석을 놓았으며, 연이어 장대석, 향로석, 문인석, 묘표 등이 있다.
향토문화유적소개 유강(1510∼1570)은 조선 전기 문신으로 자는 강지(絳之), 시호는 숙민(肅敏)이다. 예조판서를 지낸 여림(汝霖)의 아들로 도승지, 한성부판윤, 공조판서, 호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묘역은 원차산마을 기계 유씨 문중 묘역의 제일 좌측에 남향하여 위치해 있으며 원형분묘로 하단에는 호석을 둘렀다. 정부인 전주 이씨 및 정부인 의령 남씨와의 합장묘로 되어 있으며 혼유석, 상석, 향로석, 망주석, 문인석 등의 석물을 갖추고 있다. 묘표는 봉분 중앙에 위치하여 대석, 월두형 비으로 되어 있다. 건립연대는 1572년이다. 신도비는 유강 묘 아래 길 옆에 정자각을 세워 보존하고 있다. 1639년에 세워진 것으로 대석과 이수에 용문양을 새겼는데, 이정구가 찬하고, 현손인 유황이 쓰고, 김광현이 전자를 쓰고 증손 유성증이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