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팔달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수원시 팔달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및 정보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지도



  • 위치가 서로 가까운 경우는 위도와 경도가 조정되어 실제 위치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자료에 위도와 경도가 기재되어 있지 않으면 지도에서 확인할 수 없습니다.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표

향토문화유적명
유적종류
주소
유적구분
이의동 길마재줄다리기
풍속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정조로824
민속자료
거북산당
신앙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중부대로 13번길 5
민속자료
조선의 무예-무예24기
군사기술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행궁로18
무형문화유적
꽃뫼 제사 유적지
제사터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화서동 688-4
기념물
숙지산 화성 채석장
채석장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화서동 산41
기념물
화성문화제-능행차연시
왕실행사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241
무형문화유적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상세 정보

이의동 길마재줄다리기
  • 향토문화유적구분 민속자료
  • 문화유적지정번호 수원시향토유산제10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풍속
  • 지정일자 2003-11-27
  • 소유주체구분 국유
  • 소유자명
  • 규모 의식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http://www.suwon.go.kr/web/visitsuwon/tour/cultureTour/cultureTourView.do?categoryCd=1064&mstSeqNo=424991
  • 향토문화유적소개 영통구 이의동 길마재마을과 용인시 수지면 상현리 독바위마을 사람들이 오래 전부터 전승해 오던 민속놀이로서 3년에 한 번씩 정월대보름 다음날 밤 모든 마을사람들이 나와 어른 남자는 동쪽 줄(숫줄)에 여자나 총각 및 어린이는 서쪽 줄(암줄)에 자리 잡고 줄다리기를 시작한다. 결과는 항상 서쪽 편이 이기게 되는데 그래야 풍년이 들고 마을에 나쁜 일이 생기지 않는다고 믿기 때문이다. 우리의 전통적인 대표적 줄다리기 풍습이다. 현재는 수원문화원에서 매년 10월 화성문화제 기간에 전통을 이어 재연에 힘쓰고 있다.
  • 전화번호 031-228-2413
  • 관리기관명 경기도 수원시
  • insttNm 경기도 수원시
  • 주소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정조로824
  • 네이버 이의동 길마재줄다리기 검색 링크
거북산당
  • 향토문화유적구분 민속자료
  • 문화유적지정번호 수원시향토유산제02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신앙
  • 지정일자 1986-04-08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영동시장번영회
  • 규모 1동
  • 조성시대 근대
  • 이미지정보 http://www.suwon.go.kr/web/visitsuwon/tour/cultureTour/cultureTourView.do?categoryCd=1064&mstSeqNo=424998
  • 향토문화유적소개 영동 거북산당은 수원의 대표적인 마을굿 중에 하나인 거북산당 도당굿을 행하는 당집이다. 현재 영동 거북산당에서는 매년 음력 10월 7일에 영동시장의 번영과 상인들의 평안을 빌기 위하여 도당굿을 거행한다. 거북산당은 정면 507㎝ 측면 266㎝ 규모를 갖고 있으며 지붕은 맞배지붕에 골기와를 얹었으며 동북쪽을 향하고 있다. 1964년에 지어졌으며 1986년 수원시 향토유산 제2호로 지정되면서 새로 단청을 입혔고 1994년에 다시 건물의 개보수가 이루어졌다. 당집 내부에는 제단과 대왕님(염라대왕님) 거북도당 할아버지와 거북도당할머니의 신격의 형상을 그린 그림 두 폭이 걸려있다.
  • 전화번호 031-228-2413
  • 관리기관명 경기도 수원시
  • insttNm 경기도 수원시
  • 주소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중부대로 13번길 5
  • 네이버 거북산당 검색 링크
조선의 무예-무예24기
  • 향토문화유적구분 무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수원시향토유산제21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군사기술
  • 지정일자 2007-06-03
  • 소유주체구분 국유
  • 소유자명 경기도 수원시
  • 규모 의식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http://www.suwon.go.kr/web/visitsuwon/tour/cultureTour/cultureTourView.do?categoryCd=1064&mstSeqNo=424982
  • 향토문화유적소개 무예24기는 조선 정조대왕(1776~1800) 때에 장용영에서 펴낸 『무예도보통지』에 실린 24가지 무예를 말하며 맨손무예 1가지 · 도검무예 10가지 · 창봉무예 7가지 · 마상무예 6가지 등 총 24가지의 종합무예이다. 조선시대 군사들이 익혔던 군사무예의 완결판으로 무과시험의 과목이었으며 대한제국기 구식군대가 해체될 때까지 조선의 군사들이 익혔던 군사무예이다.
  • 전화번호 031-228-2413
  • 관리기관명 경기도 수원시
  • insttNm 경기도 수원시
  • 주소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행궁로18
  • 네이버 조선의 무예-무예24기 검색 링크
꽃뫼 제사 유적지
  • 향토문화유적구분 기념물
  • 문화유적지정번호 수원시향토유산제08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제사터
  • 지정일자 1998-09-17
  • 소유주체구분 국유
  • 소유자명 경기도 수원시
  • 규모 일원
  • 조성시대 삼국시대
  • 이미지정보 http://www.suwon.go.kr/web/visitsuwon/tour/cultureTour/cultureTourView.do?categoryCd=1064&mstSeqNo=424993
  • 향토문화유적소개 팔달구 화서동에 위치하는 유적으로 청동기시대의 구멍무늬토기편과 삼국 · 조선시대의 유물이 수습되었다. 그리고 삼국시대부터 내려오는 중요한 제사 유적지임이 확인되기도 했는데 마을에서는 오래 전부터 추석을 전후한 시기에 모든 주민들이 참여하여 동제(洞祭 마을제사)를 올렸다고 한다. 꽃뫼라는 이름은 옛날 옛적 병든 아버지를 극진히 모시던 한 처녀가 함께 일하던 머슴에게 욕을 보인 후 이 산에서 목을 매달았는데 몇 해가 지난 후 그 처녀가 묻힌 자리에서 꽃나무가 무성히 자라나서 그 때부터 사람들은 효심이 지극했던 처녀를 생각하며 꽃뫼라고 불렀다고 한다.
  • 전화번호 031-228-2413
  • 관리기관명 경기도 수원시
  • insttNm 경기도 수원시
  • 주소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화서동 688-4
  • 네이버 꽃뫼 제사 유적지 검색 링크
숙지산 화성 채석장
  • 향토문화유적구분 기념물
  • 문화유적지정번호 수원시향토유산제15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채석장
  • 지정일자 2006-12-26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정주환 등
  • 규모 일원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http://www.suwon.go.kr/web/visitsuwon/tour/cultureTour/cultureTourView.do?categoryCd=1064&mstSeqNo=424986
  • 향토문화유적소개 화서동 숙지산 여러 곳에 분포하고 있으며 수원화성을 축조하기 위한 성돌의 채석이 이루어졌던 유적으로 팔달산과 함께 중요한 성돌의 공급원이었던 곳이다. 이곳에서 숫돌같이 판판한 치도(治道)를 통하여 수레를 이용하여 화성 축성 장소까지 성돌을 운반하였다. 채석 당시의 쐐기 자국이 여러 곳에 남아있어 화성 축성 이해에 있어 역사적 가치를 지닌 유적이다.
  • 전화번호 031-228-2413
  • 관리기관명 경기도 수원시
  • insttNm 경기도 수원시
  • 주소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화서동 산41
  • 네이버 숙지산 화성 채석장 검색 링크
화성문화제-능행차연시
  • 향토문화유적구분 무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수원시향토유산제20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왕실행사
  • 지정일자 2007-06-03
  • 소유주체구분 국유
  • 소유자명 경기도 수원시
  • 규모 의식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http://www.suwon.go.kr/web/visitsuwon/tour/cultureTour/cultureTourView.do?categoryCd=1064&mstSeqNo=424983
  • 향토문화유적소개 정조대왕은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수원으로 옮긴 후 매년 한두 차례씩 총 13차례나 수원에 행차하였다. 그 가운데 가장 규모가 컸던 행차가 1795년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위한 능행차로서 어가를 따라간 인원은 1779명에 달하고 말은 779필이나 되었다. 그러나 실제 동원된 인원은 5군영과 장용영 군사들을 합쳐 대략 6000명에 달한다. 첫째날 서울의 창덕궁을 출발하여 노량행궁을 지나 시흥행궁에서 하룻밤을 묵고 다음날 사근참 행궁을 지나 화성행궁에 도착하였다. 8일간의 행차길에는 향교를 참배하고 과거시험을 치러 인재를 등용하고 대규모 군사훈련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봉수당에서의 화려한 회갑잔치와 함께 백성들에게 쌀과 죽을 나누어 주며 양로연도 펼쳐져 서로 즐거움을 함께하였다. 또한 이 능행길에서는 한강을 건널 때 배다리를 이용하기도 했다. 정조대왕의 능행차는 수많은 공식행사와 함께 백성의 괴로움을 두루 살피고 아버지 사도세자와 어머니 혜경궁 홍씨에 대한 효심의 표현이었다. 매년 10월에 열리는 수원화성문화제에서 정조대왕 능행차 행렬을 재현하고 있다.
  • 전화번호 031-228-2413
  • 관리기관명 경기도 수원시
  • insttNm 경기도 수원시
  • 주소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241
  • 네이버 화성문화제-능행차연시 검색 링크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설명

똑똑장소찾기 앱 리스트




문의처

이메일: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