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영통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수원시 영통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및 정보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지도



  • 위치가 서로 가까운 경우는 위도와 경도가 조정되어 실제 위치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자료에 위도와 경도가 기재되어 있지 않으면 지도에서 확인할 수 없습니다.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표

향토문화유적명
유적종류
주소
유적구분
안동김씨 참의공파 세장묘역
무덤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산42-1 등
기념물
전주류씨 효자정문
건조물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창룡대로265
유형문화유적
화성관련 표석 일괄
비석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창룡대로265
유형문화유적
수원역대목민관 송덕비군
비석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창룡대로265
유형문화유적
이목동 출토 석관묘
무덤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창룡대로265
기념물
수원 화서동 마애삼존불상
조각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창룡대로265
유형문화유적
정유선생묘
무덤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하동 1020
기념물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상세 정보

안동김씨 참의공파 세장묘역
  • 향토문화유적구분 기념물
  • 문화유적지정번호 수원시향토유산제23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무덤
  • 지정일자 2007-06-03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안동김씨종중
  • 규모 일원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http://www.suwon.go.kr/web/visitsuwon/tour/cultureTour/cultureTourView.do?categoryCd=1064&mstSeqNo=424980
  • 향토문화유적소개 안동김씨 참의공파는 수원지역의 대표적 성씨 중 하나로서 형조참의를 지낸 김언침(1514~1584)과 그 후손의 묘역으로 크게 2개 지역으로 나뉘어 분포되어 있다. 김언침은 조선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안동이고 자는 정중(靜仲)으로 김로(金瀘)의 아들이다. 묘역에는 옛 석물로 혼유석 · 상석 · 향로석 · 촉대석 · 망주석 · 문인석 · 방부가 있다. 부부의 합장묘로 하단이 매몰된 향로석의 좌우에 촉대석을 설치하였다. 안동김씨 참의공파 세장묘역에는 김언침의 아들 김찬을 비롯한 후손들의 묘가 자리잡고 있다. 김찬(金瓚 1543~1599)은 선조대의 문신으로 자는 숙진(叔珍) 호는 눌암(訥菴)이다. 묘역은 쌍분 형식으로 호석을 둘렀다. 옛 석물로는 혼유석 · 상석 · 향로석 · 촉대석 · 망주석 · 문인석 · 방부가 있다. 묘역과 석물양식이 거의 원형으로 보존되어 있어 조선시대 묘제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전화번호 031-228-2413
  • 관리기관명 경기도 수원시
  • insttNm 경기도 수원시
  • 주소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산42-1 등
  • 네이버 안동김씨 참의공파 세장묘역 검색 링크
전주류씨 효자정문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수원시향토유산제17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6-12-26
  • 소유주체구분 국유
  • 소유자명 경기도 수원시
  • 규모 2기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http://www.suwon.go.kr/web/visitsuwon/tour/cultureTour/cultureTourView.do?categoryCd=1064&mstSeqNo=424984
  • 향토문화유적소개 정려문은 충신(忠臣) · 효자(孝子) · 열녀(烈女) 등 다른 사람에게 모범이 될 만한 인물의 행적을 널리 알리고자 마을 입구나 집 대문 앞에 나무로 만들어 세우던 붉은 문이다. 전주류씨 효자정문은 상촌의 전주 류씨 사호공파의 종가인 류원상씨 댁 대문 옆(수원시 권선구 금곡동 618-2)에 있었으나 2008년 수원박물관으로 이전하여 원본은 보관중이고 야외에 재현품을 만들어 전시하고 있다. 류태명(柳泰明 : 1666~1716)과 증손자 류의(柳誼 : 1734~1799)의 효자 정려문을 정려각에 상하로 걸어 놓았다.
  • 전화번호 031-228-4129
  • 관리기관명 경기도 수원시
  • insttNm 경기도 수원시
  • 주소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창룡대로265
  • 네이버 전주류씨 효자정문 검색 링크
화성관련 표석 일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수원시향토유산제16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비석
  • 지정일자 2006-12-26
  • 소유주체구분 국유
  • 소유자명 경기도 수원시
  • 규모 5기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http://www.suwon.go.kr/web/visitsuwon/tour/cultureTour/cultureTourView.do?categoryCd=1064&mstSeqNo=424985
  • 향토문화유적소개 정조의 현륭원 원행길에 이정표로 세운 상유천 · 하유천 · 괴목정교 표석과 축만제 둑에 세워진 축만제 표석 · 정조대의 원행길에 들어있지 않으나 1834년 세웠을 것으로 추정되는 남창교 표석 등 5기가 일괄지정되었다. 표석의 보호를 위해 축만제를 제외한 나머지 4기는 수원박물관과 수원화성박물관에 보관 중이며, 현장에는 복제본이 설치되어 있다.
  • 전화번호 031-228-2413
  • 관리기관명 경기도 수원시
  • insttNm 경기도 수원시
  • 주소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창룡대로265
  • 네이버 화성관련 표석 일괄 검색 링크
수원역대목민관 송덕비군
이목동 출토 석관묘
  • 향토문화유적구분 기념물
  • 문화유적지정번호 수원시향토유산제07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무덤
  • 지정일자 2006-12-26
  • 소유주체구분 국유
  • 소유자명 경기도 수원시
  • 규모 1기
  • 조성시대 통일신라
  • 이미지정보 http://www.suwon.go.kr/web/visitsuwon/tour/cultureTour/cultureTourView.do?categoryCd=1064&mstSeqNo=424994
  • 향토문화유적소개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이목동 242-3번지 일대 유적으로 구릉이 능선 정상부에서 아래까지 남에서 북으로 완만한 능선을 이루고 있다. 이목동 유적은 통일신라시대 수원지역에서 처음으로 발굴되었다. 1호 석곽묘를 2008년 수원박물관으로 이전 복원하여 야외전시하고 있다. 통일신라시대의 무덤인 이목동 1호 석곽묘는 청동기시대 집터를 파괴한 위에 조성되었다. 무덤의 석축벽은 3~5단 정도씩 남아 있고 시신을 눕혀 놓는 시상(屍床)은 소형의 평평한 석재를 바닥 전면에 1겹으로 깔았다. 관을 사용하지 않고 시신을 그대로 안치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시신의 가슴 위치 부근에서 회청색의 연질 완과 연황색의 연질 대부완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 전화번호 031-228-4129
  • 관리기관명 경기도 수원시
  • insttNm 경기도 수원시
  • 주소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창룡대로265
  • 네이버 이목동 출토 석관묘 검색 링크
수원 화서동 마애삼존불상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수원시향토유산제13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조각
  • 지정일자 2006-12-26
  • 소유주체구분 국유
  • 소유자명 경기도 수원시
  • 규모 1좌
  • 조성시대 고려시대
  • 이미지정보 http://www.suwon.go.kr/web/visitsuwon/tour/cultureTour/cultureTourView.do?categoryCd=1064&mstSeqNo=424988
  • 향토문화유적소개 수원시 화서동에서 2008년 수원박물관으로 옮겨온 석불로 예전에는 동래정씨 집안 여인들에 의해 매월 초하루와 보름날에 제의가 이루어졌었다. 삼존상으로 본존 여래좌상과 좌우협시 보살입상으로 구성되었으며 본존상의 머리 뒤쪽에는 원형 두광(頭光)이 표현되었다. 전체적으로 불상의 몸 부분 곳곳에는 채색한 흔적이 남아있고 큼직한 이목구비에 미소를 머금은 듯한 표정은 원만한 인상을 주는 요소이다. 과감하게 생략된 옷주름 및 앙련(仰蓮)과 복련(復蓮)으로 이루어진 연화대좌의 소박한 형태와 세부적인 조각 수법 등에 비추어 볼 때 제작 시기는 고려중기 이후로 추정된다.
  • 전화번호 031-228-4129
  • 관리기관명 경기도 수원시
  • insttNm 경기도 수원시
  • 주소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창룡대로265
  • 네이버 수원 화서동 마애삼존불상 검색 링크
정유선생묘
  • 향토문화유적구분 기념물
  • 문화유적지정번호 수원시향토유산제06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무덤
  • 지정일자 1990-01-04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온양정씨종중
  • 규모 1기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http://www.suwon.go.kr/web/visitsuwon/tour/cultureTour/cultureTourView.do?categoryCd=1064&mstSeqNo=424995
  • 향토문화유적소개 정유(鄭裕 1503∼1566)는 명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온양(溫陽), 자는 공작(公綽), 호는 양진당(養眞堂) 보진당이다. 통진현감을 지낸 정수강(鄭守綱)의 아들이다. 1528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1537년 문과(文科)에 급제하였다. 사헌부(司憲府)와 사간원(司諫院) · 홍문관(弘文館)등 삼사(三司)의 여러 벼슬을 거처 1555년 대사헌에 임명되었으며 황해도와 강원도의 관찰사를 역임하였다. 임금과 학문을 강론(講論)하는 경연(經筵)에 오랫동안 참여하여 명종의 총애를 받았으며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기도 하였다. 묘는 쌍분형태로 정수강(鄭守綱) 묘 하단에 서남향으로 자리잡았다. 묘에는 16세기 후반에 세운 묘갈 · 혼유석 · 상석 · 향로석 · 망주석 1쌍 · 문인석 1쌍이 있다. 대리석 비신을 사용한 묘갈은 서애 유성룡(柳成龍)이 지은 비문을 석봉 한호(韓護)가 썼으며 김응남(金應南)이 전액(篆額)을 써서 세운 것으로 학술적 가치가 크다. 원본은 수원박물관에서 보관중이며, 묘역에는 복제본이 설치되어 있다.
  • 전화번호 031-228-2413
  • 관리기관명 경기도 수원시
  • insttNm 경기도 수원시
  • 주소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하동 1020
  • 네이버 정유선생묘 검색 링크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설명

똑똑장소찾기 앱 리스트




문의처

이메일: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