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 북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포항시 북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및 정보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지도



  • 위치가 서로 가까운 경우는 위도와 경도가 조정되어 실제 위치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자료에 위도와 경도가 기재되어 있지 않으면 지도에서 확인할 수 없습니다.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표

향토문화유적명
유적종류
주소
유적구분
가안리 송와정
건조물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가천남계길 62-9
유형문화유적
가안리 가천서당
건조물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가천남계길 64번길 17-12
유형문화유적
미현리 부운재
건조물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기동지길 690
유형문화유적
안국사지
건조물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남계리 299
기념물
미현리 기계유씨 시조 묘비
금석문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미현리 산1-1
유형문화유적
현내리 신라아찬유공 유허비
금석문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현내리 490
유형문화유적
현내리 도원정사
건조물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협동길 36번길 21-9
민속자료
화대리 성강서사
건조물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화대길 94번길 21
유형문화유적
포항 향토 침선장 (*해제)
공예기술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서동로 91번길 19
무형문화유적
대전리 백계당
건조물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대전리 산 161
유형문화유적
중산리 윤락 충효비
금석문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중산리 산 8-1
유형문화유적
화진리 구진마을 앉은 줄다리기
무용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화진리 461-3
무형문화유적
마북리 효자 장윤경 사당 충효사
건조물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신광면 마북길 366-9
유형문화유적
우각리 오의정
건조물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신광면 우각길 94-7
유형문화유적
두마리 상엿집
건조물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장면 두마리 745
민속자료
유계리 상덕사 및 죽림사
건조물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청하면 수목원로 1384번길 36
유형문화유적
파평윤씨 일우공 종중 소장 유물 일괄
전적류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청하면 수목원로 1398번길 6
유형문화유적
박수존정효각
건조물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환호동 산40-1
유형문화유적
덕성리 이상재
건조물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덕실마을길 542
유형문화유적
포항시 관내 선정비
금석문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한동로 51
유형문화유적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상세 정보

가안리 송와정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유형 2019-4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19-12-26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달성서씨 운은정 종중
  • 규모 1동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가안리 송와정은 서광윤의 5세손인 서사묵이 후학 양성을 위하여 정조 13년(1789) 창건한 후 이름있는 유학자를 배출하였고 유림들이 학문을 연마하고 인격을 도야하는 틈틈이 자연을 벗 삼아 정신의 여유를 찾던 정자이다. 광복 이후 마을 안쪽의 운은정이 초등학교 분교로 활용될 때 송와정도 부연을 달아 교실로 확장하여 운영하였다.
  • 전화번호 054-270-2271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포항시 문화예술과
  • insttNm 경상북도 포항시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가천남계길 62-9
  • 네이버 가안리 송와정 검색 링크
가안리 가천서당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유형 2019-3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19-12-26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달성서씨 운은정 종중
  • 규모 2동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가안리 가천서당은 운은정과 추모재 두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운은정은 서광윤이 광해군 13년(1621)에 향리로 돌아와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창건하였으며 추모재는 정조 4년(1780) 서한진의 뜻과 덕을 기리는 재사로 건립된 후 문중과 지방 학도를 교육하는 장소로 활용되었다. 운은정과 추모재는 강학장소로 활용되고 많은 후학과 인재를 배출하며 서당의 역할을 하였으므로 가천서당이라 불렸다.
  • 전화번호 054-270-2271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포항시 문화예술과
  • insttNm 경상북도 포항시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가천남계길 64번길 17-12
  • 네이버 가안리 가천서당 검색 링크
미현리 부운재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유형 2016-02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16-09-0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재)부운장학회
  • 규모 5동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미현리 부운재는 기계유씨의 시조인 신라 아찬 유삼재공의 영묘를 수호하기 위해 세운 재궁으로 1710년(숙종 37년)에 부운암 16칸을 건립하면서 비롯되었으며 1920년에 정사 12칸과 낭무 18칸의 목조와가 3동을 개건하여 부운재라 개칭하였다. 그 후 1944년과 1959년 1979년에 각각 증개축과 중수가 이루어졌으며 1985년에 는 대대적으로 개축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전화번호 054-270-2271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포항시 문화예술과
  • insttNm 경상북도 포항시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기동지길 690
  • 네이버 미현리 부운재 검색 링크
안국사지
  • 향토문화유적구분 기념물
  • 문화유적지정번호 기념물 2024-3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24-07-03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오상기 외 1인
  • 규모 6747㎡
  • 조성시대 삼국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안국사지는 포항시 기계면 운주산에 위치한 폐사지로, 문헌에 따르면 신라 소지마립간 시기(490~500)에 처음 창건되어 1442년(조선 세종 4)에 중창되었으며 1907년(대한제국 융희 원년) 산남의진(山南義陳)의 의병항쟁 과정에서 일본군의 방화로 소실되었다.
  • 전화번호 054-270-2389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포항시 문화예술과
  • insttNm 경상북도 포항시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남계리 299
  • 네이버 안국사지 검색 링크
미현리 기계유씨 시조 묘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유형 2019-1
  • 향토문화유적종류 금석문
  • 지정일자 2019-10-04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재)부운장학회
  • 규모 2기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미현리 기계유씨 시조 묘비는 신라 아찬 유삼재공의 묘 앞에 있는 2기이다. 묘소 앞에 있는 비는 숙종 16년(1690)에 세워졌고 묘소 우측에 있는 비는 당대 금석학에 조예가 깊은 유척기 선생이 글씨를 쓴 것으로 영조 3년(1727) 건립되었다.
  • 전화번호 054-270-2271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포항시 문화예술과
  • insttNm 경상북도 포항시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미현리 산1-1
  • 네이버 미현리 기계유씨 시조 묘비 검색 링크
현내리 신라아찬유공 유허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유형 2017-01
  • 향토문화유적종류 금석문
  • 지정일자 2017-09-29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재)부운장학회
  • 규모 1기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현내리 신라아찬유공유허비는 조선 정조 19년(1795)에 경주부윤 유한모가 시조가 살던 옛터를 찾아 비를 세우고 비각을 건립하였다고 한다. 이 비는 기계유씨 시조가 거주하던 세거지이며 관형지인 기계면에 건립되어 중요한 역사적 사실을 알려주는 문화유적이다.
  • 전화번호 054-270-2271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포항시 문화예술과
  • insttNm 경상북도 포항시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현내리 490
  • 네이버 현내리 신라아찬유공 유허비 검색 링크
현내리 도원정사
  • 향토문화유적구분 민속자료
  • 문화유적지정번호 민속자료 2020-1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20-12-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경주이씨 기계도원공파 문중
  • 규모 1곽
  • 조성시대 일제강점기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현내리 도원정사는 1928년 건립된 건물로서는 수작(秀作)으로 평가할 수 있는 건물이다. 해방 직후 아직 공교육 체계가 미비하던 시절에 기계중학교의 교실로 활용되었다는 점에서 교육 유산으로서 가치도 있다. 또한 후손들이 정성스럽게 보존하여 왔으며 안정되게 형성된 문중 조직이 이 정사를 수호하려는 의지가 강하다.
  • 전화번호 054-270-238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포항시 문화예술과
  • insttNm 경상북도 포항시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협동길 36번길 21-9
  • 네이버 현내리 도원정사 검색 링크
화대리 성강서사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유형 2018-03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18-10-16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성강서사 화대고씨 종중
  • 규모 1곽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화대리 성강서사는 임진왜란 당시 전공을 세워 경상도 병마절도사를 제수받고 제흥군에 봉해진 해장 고언백(?~1609)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다. 1851년 기계면 성계리에 건립된 후 대원군 때 훼철되어 1965년 현 위치에 복원하였다.
  • 전화번호 054-270-2271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포항시 문화예술과
  • insttNm 경상북도 포항시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화대길 94번길 21
  • 네이버 화대리 성강서사 검색 링크
포항 향토 침선장 (*해제)
  • 향토문화유적구분 무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무형 2019-1
  • 향토문화유적종류 공예기술
  • 지정일자 2019-10-04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조정화
  • 규모
  • 조성시대 현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포항 향토 침선장 조정화는 재봉틀을 사용하지 않고 순수하게 손바느질만으로 한복을 제작해야 한다는 신념으로 이를 실천하고 있다. 한복 문화의 맥을 잇기 위해 전통 한복을 수집하는 일에도 힘쓰고 있으며 후학 양성에도 심혈을 기울이는 등 우리 전통을 잇기 위해 매진하고 있다.
  • 전화번호 054-270-2271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포항시 문화예술과
  • insttNm 경상북도 포항시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서동로 91번길 19
  • 네이버 포항 향토 침선장 (*해제) 검색 링크
대전리 백계당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유형 2016-05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16-09-0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박해철
  • 규모 1동
  • 조성시대 근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대전리 백계당은 내연산 산신인 할무당 할매를 모시는 사당이다. 현 위치로부터 위로 약 2km 떨어진 내연산 문수봉과 삼지봉 사이의 할무당재에 있었던 것을 1928년에 이건하였다고 한다. 이건 이전에 3차례(1892년. 1901년. 1914년) 중수한 기록은 있지만 창건 기록은 없다.
  • 전화번호 054-270-2271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포항시 문화예술과
  • insttNm 경상북도 포항시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대전리 산 161
  • 네이버 대전리 백계당 검색 링크
중산리 윤락 충효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유형 2017-05
  • 향토문화유적종류 금석문
  • 지정일자 2017-09-29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윤춘석
  • 규모 1기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윤락 충효비는 조선 중기 충신이며 효자인 윤락(1568~1644)의 행적을 기념하기 위해 그가 살던 송라면 중산리에 세운 비석이다. 비석은 도로가에 2012년 새로 지운 비각 안에 보전되어 있으며 비각은 살창을 두른 작은 맞배집이다.
  • 전화번호 054-270-2271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포항시 문화예술과
  • insttNm 경상북도 포항시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중산리 산 8-1
  • 네이버 중산리 윤락 충효비 검색 링크
화진리 구진마을 앉은 줄다리기
  • 향토문화유적구분 무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무형 2016-01
  • 향토문화유적종류 무용
  • 지정일자 2016-09-0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이영택
  • 규모
  • 조성시대 근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화진리 구진마을 앉은 줄다리기는 음력 정월 대보름 오전에 행해지는데 앉아서 줄을 당긴다고 하여 앉은 줄다리기라고도 한다. 구진마을 앉은 줄다리기는 이 지역의 독특한 문하이고 줄다리기 자체보다는 이 의식 행위가 가지는 의미를 새기고 일제강점기부터 지금까지 중단된 적 없이 전국에서 유일하게 행해지는 민간의식으로 가치가 높다
  • 전화번호 054-270-2271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포항시 문화예술과
  • insttNm 경상북도 포항시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화진리 461-3
  • 네이버 화진리 구진마을 앉은 줄다리기 검색 링크
마북리 효자 장윤경 사당 충효사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유형2021-5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21-12-2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인동장씨 중리공파 문중
  • 규모 1동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장윤경은 임진왜란 시기의 효자이며 충신이었다. 그의 효행과 충성은 조정에서 정려한 것으로 기록되었고 포항과 영덕의 읍지에 모두 등재되었다. 현재 충효사 내부에 충효각이라는 현판이 보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원래는 정려비를 포함한 정려각 형태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 전화번호 054-270-5811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포항시 문화예술과
  • insttNm 경상북도 포항시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신광면 마북길 366-9
  • 네이버 마북리 효자 장윤경 사당 충효사 검색 링크
우각리 오의정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유형 2017-02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17-09-29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이태섭
  • 규모 1동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오의정은 여강이씨 재실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전면과 좌우측에 계자 난간을 달았다. 오의정 내에는 경상북도 기념물 제57호로 지정된 영일 우각동 향나무가 있다. 이 향나무는 오의정 이의온이 오의정을 세우고 손수 심은 나무로 수령이 400여 년이나 된다고 한다.
  • 전화번호 054-270-2271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포항시 문화예술과
  • insttNm 경상북도 포항시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신광면 우각길 94-7
  • 네이버 우각리 오의정 검색 링크
두마리 상엿집
  • 향토문화유적구분 민속자료
  • 문화유적지정번호 민속자료 2024-1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24-04-0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두마리 마을회
  • 규모 1동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두마리 상엿집은 조선 후기부터 근래까지 두마리 마을 주민들의 장례 시에 사용하던 운구용 상여를 보관하던 건물로, 시대에 따른 상여의 형태 및 전통적인 장례문화의 변화상을 일목요연하게 파악 가능하다.
  • 전화번호 054-270-2389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포항시 문화예술과
  • insttNm 경상북도 포항시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장면 두마리 745
  • 네이버 두마리 상엿집 검색 링크
유계리 상덕사 및 죽림사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유형 2018-04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18-10-16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파평윤씨 천와공 종중파평윤씨 일우공 종중
  • 규모 2동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유계리 상덕사와 죽림사는 윤백주와 윤빈 선생을 모시는 사당으로 두 분은 부자간이다. 윤백주는 이 마을 출신으로 1720년 무과에 급제하고 영조 때 이인좌의 난을 진압하는데 공을 세워 수충양무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 또한 윤빈은 청하 서계리에서 출생하여 무과에 오른 후 강원도에서 일어나 혜적이라는 도적을 토벌한 공으로 추충양무원종공신에 녹훈되어 어모장군 선전관에 제수되었다.
  • 전화번호 054-270-2271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포항시 문화예술과
  • insttNm 경상북도 포항시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청하면 수목원로 1384번길 36
  • 네이버 유계리 상덕사 및 죽림사 검색 링크
파평윤씨 일우공 종중 소장 유물 일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유형 2021-1
  • 향토문화유적종류 전적류
  • 지정일자 2021-05-04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파평윤씨 일우공 종중
  • 규모 유물 1식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파평윤씨 일우공 종중 소장 유물은 조선 숙종과 영조 당시 무과에 급제한 윤백주와 윤빈 두 부자가 급제행렬 시 사용한 어사화를 비롯하여 일우공 윤빈의 호패와 각종 문서류이다. 문서는 대부분이 당시의 관찰사 수령들과 주고받은 것으로 당시 사정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특히 길주진병마절제사 인수인계 시 작성한 인계항목 명세서인 해유문서와 신입관료에 대한 선배 관료의 괴롭힘 등을 기록한 문서인 면신례첩은 보기 드문 자료이다. 파평윤씨 일우공 종중 소장 유물은 모두 문화재적 가치가 높으며 상태가 양호하고 지역사를 연구하는데 소중한 자료이다.
  • 전화번호 054-270-238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포항시 문화예술과
  • insttNm 경상북도 포항시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청하면 수목원로 1398번길 6
  • 네이버 파평윤씨 일우공 종중 소장 유물 일괄 검색 링크
박수존정효각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유형 2024-1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24-07-03
  • 소유주체구분 국유
  • 소유자명 환여동
  • 규모 1동
  • 조성시대 일제강점기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박수존 정효각은 현재 포항시 북구 환호동 해맞이 그린빌 2차 아파트 인근에 위치한 일제강점기의 정려비(旌閭碑) 및 비각 건물로, 노쇠한 부친을 극진하게 모신 효자 박수존의 행적을 기리기 위해 1926년 건립되었다.
  • 전화번호 054-270-2389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포항시 문화예술과
  • insttNm 경상북도 포항시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환호동 산40-1
  • 네이버 박수존정효각 검색 링크
덕성리 이상재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유형 2017-04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17-09-29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이상욱
  • 규모 1동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이상재는 입향조인 이준의 묘소를 수호하고 그를 추모하기 위해 건립된 월성이씨 재사로 덕실 소류지로 올라가는 길가에 위치한다. 건물은 정면 4칸 측면 2칸이다. 정면 중앙에는 이상재 현판이 있고 좌우측에는 효우당과 우모헌 현판이 있다.
  • 전화번호 054-270-2271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포항시 문화예술과
  • insttNm 경상북도 포항시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덕실마을길 542
  • 네이버 덕성리 이상재 검색 링크
포항시 관내 선정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유형2022-1~58
  • 향토문화유적종류 금석문
  • 지정일자 2022-08-26
  • 소유주체구분 국유
  • 소유자명 포항시
  • 규모 58기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선정비는 왕조시대에 부임관료의 다스림을 받는 지역민이 선정한 관료에게 감사한 마음을 표현하는 방법의 한 종류였다. 선정비는 원칙적으로 선정을 베푼 수령이 이임한 뒤에 지역민이 자발적으로 설립하는 것이었고 조선 초기에는 비교적 이런 전통이 잘 지켜졌다고 하나 중기 이후 관료의 기강이 해이해지고 수령의 명예욕이 통제되지 않으면서 선정비가 남설되는 경향이 있다. 조정에서는 자주 이를 금단하는 논의가 있었고 설립된 선정비를 철거 매몰하라는 명령도 자주 내려졌다. 현재 지역에 남아있는 선정비 가운데 흥해군, 연일현, 장기현, 장기현에서 군수, 현감을 지낸 분의 선정비를 향토사 연구를 위한 자료로 삼고자 향토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한다.
  • 전화번호 054-270-5811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포항시 문화예술과
  • insttNm 경상북도 포항시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한동로 51
  • 네이버 포항시 관내 선정비 검색 링크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향토문화유적 목록 설명

경상북도목록

- 광고 -

똑똑정보찾기 로고

공연 영화 행사 베스트셀러 신간 축제 교통 공공시설 교육 정보 모음

똑똑장소찾기 앱 리스트




문의처

이메일: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