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시 향토문화유적 목록

김천시 향토문화유적 목록 및 정보

경상북도 김천시 향토문화유적 목록 지도



  • 위치가 서로 가까운 경우는 위도와 경도가 조정되어 실제 위치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자료에 위도와 경도가 기재되어 있지 않으면 지도에서 확인할 수 없습니다.

경상북도 김천시 향토문화유적 목록 표

향토문화유적명
유적종류
주소
유적구분
감문중학교 본관동 및 화장실
건조물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감문로 1113
유형문화유적
성산이씨정려각
건조물
경상북도 김천시 개령면 덕촌리 산99
유형문화유적
배흥립장군 묘소
옛무덤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광명2길 73-136
기념물
도양서당
건조물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금평1길 49-22
유형문화유적
이숙기 종가 고문서 교지 외
고문서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상원길 49-12
유형문화유적
운평선생 문집판목
판목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상원길 49-12
유형문화유적
관락사
건조물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상원길 49-12
유형문화유적
소학집주증해판목
판목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상원리 540-1
유형문화유적
절부 화순최씨 정려각
건조물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상원리 83
유형문화유적
명성재
건조물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상원리 산1
유형문화유적
충효당
건조물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상좌원2길 9-56
유형문화유적
소암고택
건조물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상좌원리 167
유형문화유적
배흥립장군신도비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송죽리 산40
유형문화유적
입석리석불입상
조각
경상북도 김천시 농소면 입석리 1415-1
유형문화유적
석곡서당
건조물
경상북도 김천시 대덕면 조룡1길 58
유형문화유적
영모재
건조물
경상북도 김천시 대덕면 중산리 229-1
유형문화유적
매계조위 묘소
옛무덤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복전리 산1-1
기념물
상주 남장사 영산회괘불도 및 복장유물
보물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길 95(직지성보박물관)
유형문화유적
상주 황령사 아미타후불탱
유형문화유산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길 95(직지성보박물관)
유형문화유적
동해사 석조여래입상
문화유산자료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길 95(직지성보박물관)
유형문화유적
상주 북장사 목조삼전패
유형문화유산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길 95(직지성보박물관)
유형문화유적
상주 북장사 목조경장
유형문화유산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길 95(직지성보박물관)
유형문화유적
김시창정려각
건조물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신암리 산67-13
유형문화유적
매계조위신도비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인의리 산49-1
유형문화유적
정걸재 유허
집터
경상북도 김천시 송설로 90
유형문화유적
상모장
공예기술
경상북도 김천시 아포읍 인1길 62-48
무형문화유적
옥계리미륵불상
조각
경상북도 김천시 어모면 옥계리 산19
유형문화유적
원계서원
건조물
경상북도 김천시 음지마길 34
유형문화유적
자동서원
건조물
경상북도 김천시 조마면 강곡4길 132
유형문화유적
기동 동중족계
고문서
경상북도 김천시 조마면 강곡4길 58-15
유형문화유적
배자예부운략
고문서
경상북도 김천시 조마면 강곡4길 58-15
유형문화유적
구로재
건조물
경상북도 김천시 조마면 신곡3길 115-14
유형문화유적
정일부부충정각
건조물
경상북도 김천시 조마면 장암리 606
유형문화유적
수도암신라비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 수도길 1438
유형문화유적
증산 쌍계사지 부도
조각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 유성리 282-19
유형문화유적
만취정
건조물
경상북도 김천시 지례면 관덕길 148
유형문화유적
윤은보·서즐정려각
건조물
경상북도 김천시 지례면 교리 산68-1
유형문화유적
노촌이약동선생신도비
경상북도 김천시 하로길 142
유형문화유적
하로서원
건조물
경상북도 김천시 하리안길 19-6
유형문화유적
황금성당
건조물
경상북도 김천시 학사대길 64
유형문화유적

경상북도 김천시 향토문화유적 목록 상세 정보

감문중학교 본관동 및 화장실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32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24-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경상북도교육감
  • 규모
  • 조성시대 근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한국전쟁 중 감문면민들과 학생들에 의해 지어진 T자형 편복도 평면을 가진 건물로서 벽체는 사고석 쌓기를 하였으며, 지붕가구는 절충식 목조 지붕틀 구조를 하고 있다. 내부는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여려 차례 개조하여 활용하였으나 외관은 준공 당시의 모습을 잘 보존하고 있다. 감문중학교 본관동과 화장실은 지역 사회에서 가지는 사회적 가치 뿐만 아니라 역사적 의의가 있음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감문로 1113
  • 네이버 감문중학교 본관동 및 화장실 검색 링크
성산이씨정려각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29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24-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함양오씨화계공파대종중
  • 규모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시부모님에 대한 효행과 남편에 대한 열행을 몸소 실천한 성산이씨 부인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정려각으로 1737년(영조13년) 나라에서 정려를 내려 어모현 다남리 오청계마을에 정려각을 세웠다. 유교 사회의 덕목인 효·열에 대한 정려가 가지고 있는 교육적, 사회적 가치가 있음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개령면 덕촌리 산99
  • 네이버 성산이씨정려각 검색 링크
배흥립장군 묘소
  • 향토문화유적구분 기념물
  • 문화유적지정번호 16
  • 향토문화유적종류 옛무덤
  • 지정일자 2022-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성산배씨진사공(휘윤순)신하파종중(배기곤)
  • 규모
  • 조성시대 조선후기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배흥립 장군 묘소는 묘소에 위치한 비석, 석인상 등도 묘와 동시대의 것으로 보임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광명2길 73-136
  • 네이버 배흥립장군 묘소 검색 링크
도양서당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1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22-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성산여씨도암공파종중(여선동)
  • 규모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도양서당은 조선 후기양식을 계승한 서당건물로서, 규모가 크고 장식도 이익공을 채택하는 화려한 편으로 서원의 강당 또는 향교의 명륜당과 견주어도 손색이 없으며 건물구성은 일반적인 서당이나 서원의 모습과는 달리 오우당이라는 사랑채 기능을 가진 건물의 존재가 특이함. 또한 성산여씨 여희필의 학덕을 기리고 교육하는 건물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금평1길 49-22
  • 네이버 도양서당 검색 링크
이숙기 종가 고문서 교지 외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25
  • 향토문화유적종류 고문서
  • 지정일자 2023-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이철응
  • 규모
  • 조성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강희(康熙) 11년(1672)에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이외에 과지(科紙), 소지(所志), 토지매매서, 분재기(分財記) 등 이숙기 종가의 고문서들은 조선시대의 일상생활과 경제생활 등 영남지역의 생활문화를 담고 있는 중요한 자료들로 다양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정치문화적인 측면에서 그 시대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임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상원길 49-12
  • 네이버 이숙기 종가 고문서 교지 외 검색 링크
운평선생 문집판목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26
  • 향토문화유적종류 판목
  • 지정일자 2023-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연안이씨문중
  • 규모
  • 조성시대 조선후기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조선 후기의 학자 송능상(宋能相)의 시문집인 운평선생문집(雲坪先生文集)의 판목으로 전체 170개로 일반적으로 문집 간행을 위한 목판 제작 사례는 주로 후손들이 선조 추앙을 위한 경우이나 이 목판의 경우는 제자가 스승을 위해 제작 배포한 특이한 사례임. 기호학파 운평 송능상의 문집을 이의조가 목판으로 판각한 것으로, 송능상의 문집이 국역되지 않고 목판으로만 남아 있다는 점이 주목됨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상원길 49-12
  • 네이버 운평선생 문집판목 검색 링크
관락사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31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24-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이철응
  • 규모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세조조에 적개1등공신이며 성종조에 좌의 4등공신인 연안이씨 이숙기를 모시는 불천위사당으로 평면은 정면3칸, 측면1칸반으로 전면에 퇴칸을 두고 바닥에 마루를 깔았다. 기둥은 전면에만 두리기둥을 세우고 나머지는 모두 네모기둥을 두었는데, 전면은 2익공으로 장식하였으나 배면은 민도리로 정면을 강조하였다. 지붕은 맞배지붕에 양측면에 풍판을 시설한 평면과 지붕 모두 전형적인 사당 양식임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상원길 49-12
  • 네이버 관락사 검색 링크
소학집주증해판목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24
  • 향토문화유적종류 판목
  • 지정일자 2023-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연안이씨(진암공)문중
  • 규모
  • 조성시대 1700년대 후반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소학집주증해는 진암 이수호(李遂浩, 1744~1797)가 소학(小學)을 해설하고 개인적인 견해를 붙여 저술한 것으로, 이것을 판각한 것이 소학집주증해판목(小學集註增解板木)임. 이 판목은 언제 판각된 것인지 알 수 없으나, 이수호가 생존한 1700년 후반으로 보이며 현존하는 판목은 211매임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상원리 540-1
  • 네이버 소학집주증해판목 검색 링크
절부 화순최씨 정려각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23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23-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연안이씨(방초정)문중
  • 규모
  • 조성시대 조선후기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1632년 인조의 어필로 정려를 하사하고 1764년 정문을 세우고 1812년 여각을 증축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음. 정려 앞에는 화순최씨부인을 구하려다 죽은 여종 석이(石伊)의 비석이 있고 정려각 옆에는 자결한 최씨를 그리워하며 지은 방초정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음. 또한 그 앞에 최씨가 투신한 웅덩이를 확장하여 최씨담이라는 연못을 만듦. 이 정려는 보물인 방초정과 역사성을 함께 하고 있음.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상원리 83
  • 네이버 절부 화순최씨 정려각 검색 링크
명성재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33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24-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연안이씨(경호공)문중
  • 규모
  • 조성시대 조선후기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가례증해를 집필한 이의조가 강론을 위해 건립한 건물로 수차례 중수가 있었지만 이의조의 추모 및 제향소라는 역사적, 건축사적 가치가 큼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상원리 산1
  • 네이버 명성재 검색 링크
충효당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27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24-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이석화(연안이씨문중)
  • 규모
  • 조성시대 조선후기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1871년 건립된 공신 충간공 이충원을 비롯해 연안이씨 선조를 기리기 위한 사우로 보존상태가 양호하며, 주간에 있어서 창방과 장혀 사이에 화반을 두어 지역 재실 건축의 특성을 살펴볼 수 있는 건축물로서 가치가 있음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상좌원2길 9-56
  • 네이버 충효당 검색 링크
소암고택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28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24-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이상호 외 5명
  • 규모
  • 조성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1825년경 이원구(독립유공자 이명균의 조부)의 차남 이준성이 분가하면서 지은 집으로 이준성의 아들 소암 이석균은 일제강점기 1919년 파리장서사건에 서명한 전국유림대표 137명 중의 한 명이고, 이 가옥은 면우 곽종석, 회당 장석영, 공산 송준필 등 많은 유림들과 일괴 이명균 등 우국지사가 조선 독립을 논의했던 곳으로 장소적 의미가 있음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상좌원리 167
  • 네이버 소암고택 검색 링크
배흥립장군신도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9
  • 향토문화유적종류
  • 지정일자 2022-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성산배씨진사공(휘윤순)신하파종중(배기곤)
  • 규모
  • 조성시대 조선후기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배흥립 장군 신도비는 조성년대가 1699년으로 명확하고, 형태가 화려한 편임. 석비의 구성은 조선시대의 간소화된 여러 형태들과 달리 귀부, 비신, 이수 등이 수려하고 정교한 형태를 보임. 신도비의 인물사적 평가와는 별도로 하더라도 석비자체의 문화유산적인 가치는 인정됨. 지역에 숭모사, 정려각, 묘소 등 배흥립의 유적이 산재하고 있음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송죽리 산40
  • 네이버 배흥립장군신도비 검색 링크
입석리석불입상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11
  • 향토문화유적종류 조각
  • 지정일자 2022-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벽진이씨평정공파종중(이병권)
  • 규모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입석리 석불입상은 통일신라시대 약사여래불로서 현재 잔존하는 부위로 볼 때 입상의 큰 규모와 조각의 수법이 정교하고 수려함을 알 수 있음. 석불 구성암석의 표면은 미생물의 서식으로 흑화되어 있고, 부재의 가장자리가 일부 파손되어 있으나 보존상태는 양호한 편임.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농소면 입석리 1415-1
  • 네이버 입석리석불입상 검색 링크
석곡서당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2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22-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한강선생추모회(이광영)
  • 규모
  • 조성시대 조선후기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석곡서당 건물의 앞에는 1889년 세워진 ‘한강선생장구지대’라고 새겨진 비가 있으며 그 옆에 한강선생이 강론한 바위가 보존되어 있음. 여러 차례의 보수가 있었으나 매년 3월 마지막 날 10개 문중의 후손들이 뜻을 기리는 회합을 개최하고 있어 장소성을 가진 역사적, 사회적 가치가 있음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대덕면 조룡1길 58
  • 네이버 석곡서당 검색 링크
영모재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35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24-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연안이씨(연성군)문중
  • 규모
  • 조성시대 조선후기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구성면 상원리 연안이씨 집성촌인 원터마을에 입향조 이말정의 제향을 위해 건립된 재실임. 대청배면 창호에 창틀의 구성수법과 중간설주는 고식의 수법으로 건축사적 의미가 있음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대덕면 중산리 229-1
  • 네이버 영모재 검색 링크
매계조위 묘소
  • 향토문화유적구분 기념물
  • 문화유적지정번호 15
  • 향토문화유적종류 옛무덤
  • 지정일자 2022-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창녕조씨문장공파종중(조지환)
  • 규모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매계 조위 묘소는 필재 김종직의 처남이자 유배가사의 효시인 「만분가」를 집필한 조선 전기를 대표하는 유학자 조위의 묘소라는 점, 봉분과 문인석 등이 잘 보존되어 있고, 특히 조위 인물이 가진 역사적, 문학사적 의미가 큼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복전리 산1-1
  • 네이버 매계조위 묘소 검색 링크
상주 남장사 영산회괘불도 및 복장유물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제2116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보물
  • 지정일자 2021-02-17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 규모 4점
  • 조성시대 조선시대 후기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는 야외에서 행하는 불교의식인 영산재(靈山齋)에 사용된 불화로, 1788년(정조 12) 조선 후기 대표 불화승인 상겸(尙謙)의 주도로 총 22명의 화승(畵僧)이 참여하여 완성한 것이다. 이 불화와 함께 전해지고 있는 문헌인 『불사성공록(佛事成功錄)』에 의하면 앞 시기에 조성된 괘불(1776년)이 기우제를 지내던 중 비를 맞아 손상되자 한양에서 온 화승들에게 맡겨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를 조성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 괘불도는 높이 10m가 넘는 큰 규모에도 불구하고 본존인 석가모니를 중심으로 주위에 권속을 짜임새 있게 배치하였고 밝고 짙은 채색으로 장식적인 요소가 돋보이는 화면이 특징이다. 명료하고 능숙한 필선으로 대상을 표현하여 격조 있는 품위를 보여주고 있으며 18세기 후반 경상북도 지역의 대표적인 불화 중 하나로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괘불 조성 과정을 기록한 『불사성공록』은 괘불의 제작 경위와 참여 화승, 도상(圖像)의 사상적 근거 등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어 작품을 이해하기 위한 필수적인 자료이다. 당시 괘불 제작뿐 아니라 지장도, 시왕도 등 1788년 당시 행해진 불사(佛事) 전반에 대한 기록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희귀한 자료라는 점에서 역사적, 불교사적 의의가 크다.
  • 전화번호 054-429-1720
  • 관리기관명 직지성보박물관
  • insttNm 경상북도 상주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길 95(직지성보박물관)
  • 네이버 상주 남장사 영산회괘불도 및 복장유물 검색 링크
상주 황령사 아미타후불탱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제337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유형문화유산
  • 지정일자 2002-07-1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 규모 1정
  • 조성시대 조선시대(1786)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이 탱화는 화면이 약간 어둡게 변질되었지만 상겸파 특유의 화풍인 사실적이면서도 단아한 인물묘사와 세장한 신체표현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어 18세기 후반의 불화 가운데서도 작품성이 뛰어나고, 화면은 아미타불 중심으로 8대보살, 사천왕, 10대 제자가 좌우로 자리하도록 구성하였다. 탱화 조성(造成)에 참여한 화승은 상겸(尙謙), 창은, 성윤(性玧), 쾌전(快全), 법성(法成), 유홍(有弘) 등이며, 상겸(尙謙)을 주축으로 하는 상겸파의 초기의 작품으로 경기도 화파가 경북지역에 미친 영향을 연구해 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상겸파는 이후 이 탱화를 조성한 인연으로 남장사의 괘불과 십육나한탱을 제작하였다. 황령사는 고려때 몽고군 차라대(車羅大)가 침공해 왔을때 이 곳의 승려 홍지(洪之)가 민병을 거느리고 모동면 백화산성으로 유인하여 승첩을 거둔 스님을 배출하였고, 임진왜란때에는 상주지역에서 최초로 창의진(昌義陣)을 조직하여 창의한 의병들이 본거지로 사용한 호국사찰이다. 그로 인하여 사찰이 소실되는 참화를 당했고 그 후 1966년 주지 상호화상에 의하여 재건되었다.
  • 전화번호 054-429-1720
  • 관리기관명 직지성보박물관
  • insttNm 경상북도 상주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길 95(직지성보박물관)
  • 네이버 상주 황령사 아미타후불탱 검색 링크
동해사 석조여래입상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제456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문화유산자료
  • 지정일자 2004-03-1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 규모 1구
  • 조성시대 조선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동해사 석조여래입상은 대좌와 광배가 없고 코가 약간 결손된 것 외에는 완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어 조선시대 불상을 연구하는데 좋은 자료이다. 그리고 불상의 양식으로 보았을 때, 신라ㆍ고려시대 석조불상의 전통을 이어 받았으며, 특히 입체의 화강암제 석조불상이 조성되는 예가 조선시대에는 극히 드문 상황이고, 완형의 조선시대 불상
  • 전화번호 054-429-1720
  • 관리기관명 직지성보박물관
  • insttNm 경상북도 상주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길 95(직지성보박물관)
  • 네이버 동해사 석조여래입상 검색 링크
상주 북장사 목조삼전패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제522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유형문화유산
  • 지정일자 2018-12-20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 규모 3점
  • 조성시대 미상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패(牌)는 불교의식이나 유교의식에 사용되는 의식구의 하나이며, 그 중 불가(佛家)의 패는 불·보살의 이름이나 소원하는 내용을 적은 명패를 화려하게 장엄하여 불단 위나 불상 앞이나 옆에 봉안한다. 원래 불가의 패는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 범종에 새긴 불패(佛牌)나 경전(經典)의 표지에 경전의 이름을 적었던 불패에서 그 모습을 찾을 수 있으며, 특히 조선 후기 17세기 이후 사찰재건과 대중불교의 성행에 따라 적극적으로 제작, 봉안된 것으로 보인다. 상주 <북장사 목조 삼전패>는 총 3점으로 명패 부분에 ‘주상전하수만세(主上殿下壽萬歲)’, ‘세자저하수천추(世子低下壽千秋)’, ‘왕비전하수제년(王妃殿下壽齊年)’ 이라는 발원문이 적혀있다. 제작에 관련된 기록이 발견되지 않아 절대 연도를 파악하기 힘들지만 조선후기에 제작된 전패의 양식이 잘 남아있으며 현재 직지성보박물관에 3점 모두 위탁 보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전패는 주상, 왕비, 세자의 만수무강을 축원하는 내용으로 조성되며 연꽃으로 장식되는 불패와는 달리 왕을 상징하는 용과 봉황, 모란 등으로 장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주 <북장사 목조 삼전패> 또한 이러한 조선후기의 삼전패 양식을 따라 패두와 패신에 섬세하게 용이 조각되어 있으며 전체가 금색으로 채색되어 있다. 보존 상태 또한 뛰어나 대좌부터 머리 부분까지 모든 부재가 잘 남아 있는데 이처럼 모두가 완벽하게 남아있으면서 삼전을 갖추고 명패까지 남아있는 예는 극히 드물다. 비록 제작관련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절대연도는 알 수 없지만 삼전패의 규모와 조각수법 그리고 보존상태 등을 고려했을 때는 조선후기 삼전패 중에서도 뛰어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며, 상주의 조선후기 불교문화를 대표하는 유물로 칭하기에 손색이 없다.
  • 전화번호 054-429-1720
  • 관리기관명 직지성보박물관
  • insttNm 경상북도 상주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길 95(직지성보박물관)
  • 네이버 상주 북장사 목조삼전패 검색 링크
상주 북장사 목조경장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제523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유형문화유산
  • 지정일자 2018-12-20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 규모 2점
  • 조성시대 미상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상주 <북장사 목조 경장>은 내부에 경전을 보관하는 시설로서 두 점이 한 쌍으로 제작되었으며 모양과 형식은 같으나 정면 문의 문양이 모란과 연화문으로 차이점이 있다. 경장은 현전하는 예가 많지 않아 양식상으로 연대를 추정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기년작인 1630년 조성 <대둔사 경장>과 비교 했을 때 규모나 조형성이 떨어지지 않는 것과 경장과 함께 봉안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북장사 극락보전 아미타여래삼존좌상>이 1676년에 제작된 점을 고려하면 17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비록 제작연대는 없지만 조선후기 북장사의 역사를 전해주는 중요한 문화재일 뿐만 아니라 조선후기 상주의 불교문화를 보여주는 문화유산으로서 그 가치가 매우 크다. 원래 북장사 극락보전에 모셔져 있었으며 현재는 직지성보박물관에 위탁 보관되어 있다.
  • 전화번호 054-429-1720
  • 관리기관명 직지성보박물관
  • insttNm 경상북도 상주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길 95(직지성보박물관)
  • 네이버 상주 북장사 목조경장 검색 링크
김시창정려각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7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22-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해풍김씨황간김산파종중(김연출)
  • 규모
  • 조성시대 조선전기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6·25전쟁 후에 새로 세워진 건물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신암리 산67-13
  • 네이버 김시창정려각 검색 링크
매계조위신도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36
  • 향토문화유적종류
  • 지정일자 2024-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조지환
  • 규모
  • 조성시대 1740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1740년에 조성된 비로 조선 후기 신도비의 전형적인 유형으로 비문은 도암 이재가 짓고 글씨는 후손 조병휘가 썼으며 내용은 조위의 생애와 업적에 대한 것임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인의리 산49-1
  • 네이버 매계조위신도비 검색 링크
정걸재 유허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20
  • 향토문화유적종류 집터
  • 지정일자 2023-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송설당교육재단
  • 규모
  • 조성시대 근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최송설당이 김천에 머물면서 1939년까지 거주하던 곳으로 만해 한용운의 자문으로 설계하여 1919년 궁중 건축 목수가 궁궐과 사찰 건축 양식을 절충하여 지은 단층 목조 25칸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이었음. 한국전쟁 중 소실되어 현재는 건물의 초석 등 석부자재들만 다수 잔존하고 있음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송설로 90
  • 네이버 정걸재 유허 검색 링크
상모장
  • 향토문화유적구분 무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19
  • 향토문화유적종류 공예기술
  • 지정일자 2023-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고종찬
  • 규모
  • 조성시대 현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평정공 이약동 선생은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 육당 최남선의 <소년>에 우리나라 유사 이래 최고의 청백리로 꼽았으며, 제주목사 재임시절 투갑연, 괘편암 전설을 남겨 김천의 위상을 높인 인물로 서원 터는 이약동 선생이 관직에서 물러나 낙향 후 학문을 논하며 강학했던 유허지로서의 가치가 있음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아포읍 인1길 62-48
  • 네이버 상모장 검색 링크
옥계리미륵불상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12
  • 향토문화유적종류 조각
  • 지정일자 2022-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입석마을회(안종복)
  • 규모
  • 조성시대 통일신라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옥계리 미륵 불상은 무야사(無也寺)라는 절터에 세워져 있음. 불상의 양식과 조각 상태 등에서 추정컨대 통일신라 하대에 조영된 것으로 추정되며, 석불의 규모나 조각의 정교성 그리고 지역인들이 숭상하는 신앙적인 중요도로 볼 때에도 문화유산적인 가치가 큼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어모면 옥계리 산19
  • 네이버 옥계리미륵불상 검색 링크
원계서원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3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22-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야성송씨공산공파종중(송재인)
  • 규모
  • 조성시대 현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원계서원은 1942년에 건립한 원계정사를 시작이라 할 수 있고 서원은 1968년이라고 보아야 할 것임. 따라서 원계서원은 조선시대 서원의 형태를 갖추고 있음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음지마길 34
  • 네이버 원계서원 검색 링크
자동서원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4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22-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진주강씨남와공파종중(강용규)
  • 규모
  • 조성시대 조선후기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자동서원은 강설이 1627년 김천으로 이주하여 김천의 입향조가 되어 1923년 자동서원과 상의사를 세우고 강설, 강여호, 강석구, 강이화 네 분을 현재 향사를 하고 있으므로 역사적 의미를 두고 있음. 전면 툇마루와 좌우배면 쪽마루를 두고 주간에 있어서 창방과 장혀 사이에 소로화반을 두어 건축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서원건축으로서 교육적 의미가 있음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조마면 강곡4길 132
  • 네이버 자동서원 검색 링크
기동 동중족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34
  • 향토문화유적종류 고문서
  • 지정일자 2024-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강용규
  • 규모
  • 조성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1556년~1812년까지 구성면 광명리 기로마을에 세거하며 김천을 대표하는 5대 반족의 하나였던 성산여씨 가문을 중심으로 혼인관계로 형성된 사족 가문인 하빈이씨, 인천이씨, 진주강씨가 연대하여 결성한 동중족계임. 중수를 거듭하면서 변화해 온 내용들을 비교 검토할 수 있는 좋은 자료임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조마면 강곡4길 58-15
  • 네이버 기동 동중족계 검색 링크
배자예부운략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13
  • 향토문화유적종류 고문서
  • 지정일자 2022-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진주강씨학암공파종중(강용규)
  • 규모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배자예부운략은 1678년(강희17, 숙종4)에 간행 반사된 무신자본의 목활자본으로 전체 5권 가운데 권1에서 권3까지만 존재하며, 3권1책으로 이루어져 있음. 이 책은 조선 후기 김천 출신의 문신 강여호(姜汝?, 1619~1683)가 함경도 종성부사로 있을 당시인 1678년에 숙종으로부터 하사받은 내사기가 당시 형태를 매우 잘 유지하고 있고, 권1의 내제명에 선사지인(宣賜之印, 임금이 각종 하사품에 찍는 도장)이 선명하게 찍혀 있어 그 가치를 확인할 수 있음. 또한 강여호의 5세손 강이화(姜履和, 1741~1828)의 책 소장 경위 등과 ‘晉山世家’, ‘湖隱’, ‘晉山世家姜履和子惠’라는 인장이 찍혀 있어 책의 출처를 확인할 수 있음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조마면 강곡4길 58-15
  • 네이버 배자예부운략 검색 링크
구로재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17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23-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아홉 노인의 후손 대표 강희삼
  • 규모
  • 조성시대 1935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구로재는 1820년에 초창하였으나 현재의 건물은 1935년에 중건한 것으로 보인다. 구로재는 5량가 건물로 견실하게 건축하면서도 이익공양식의 장식을 겸하여 어느 정도의 격식을 갖추었으며, 평면구성상의 특징도 가지고 있다. 또한 근처에 구로재와 직접적인 연관을 가지고 있는 “九老時社壇”이라는 석축단과 그와 관련된 콘텐츠가 있어 조선 후기 김천지역에서 시단이 운영되었음을 알려주는 국문학사적 자료로 가치가 있음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조마면 신곡3길 115-14
  • 네이버 구로재 검색 링크
정일부부충정각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30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24-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송암후손종중
  • 규모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임진왜란 시 정일부인 윤씨는 왜군의 추적으로부터 병환 중이던 정일 선생을 숲에 피신시키고 자신은 도암담에 몸을 던져 죽으니 종 막개도 그녀를 따라 죽었다. 그 후 임진년 겨울 왜군의 포로가 된 정일 선생도 왜군에 항거하여 죽음으로써 충절을 지켰다. 정진사의 종 계화는 3살난 정진사의 아들을 왜군으로부터 살려내어 후대를 잇게 했다. 그 뒤 1635(인조13)년에 정진사에게 지평이 증직되고 정려를 내렸으며 부인 윤씨의 정려는 1707(숙종33)년에 내려졌다. 이 정려는 충절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부부의 정려이고, 여종들 또한 주인을 따르는 의리로 비석이 서 있다는 점은 다른 정려와 달라 교육적, 사회적 가치가 있음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조마면 장암리 606
  • 네이버 정일부부충정각 검색 링크
수도암신라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10
  • 향토문화유적종류
  • 지정일자 2022-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수도암
  • 규모
  • 조성시대 통일신라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암석의 재질, 글자의 조각 정도를 볼 때 ‘원화3년(808, 신라 애장왕 9)’이라는 간기가 새겨져 있음. 그리고 신라시대 명필‘김생’의 서체로 추정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 수도길 1438
  • 네이버 수도암신라비 검색 링크
증산 쌍계사지 부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22
  • 향토문화유적종류 조각
  • 지정일자 2023-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대한불교조계종 청암사
  • 규모
  • 조성시대 조선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부도의 제작연대는 1703년 경이며 쌍계사에서 입적한 모운진언(慕雲震言 1622~1703)의 부도임. 보주와 보륜을 가진 석종형 부도로 방형의 지대석 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대석 위에 21엽의 연화를 양각시키고 네 모서리에 5개 입의 꽃무늬를 장식하였음. 공덕비의 귀첨석과 이수의 조각 수법은 정교하고 화려하여 뛰어난 형태를 지니고 있음. 비신의 비문 조각부는 선명하며 보존상태는 양호함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 유성리 282-19
  • 네이버 증산 쌍계사지 부도 검색 링크
만취정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5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22-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김해김씨종중(김시태)
  • 규모
  • 조성시대 조선후기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만취정은 1890년(고종27) 김해김씨 문중이 병자호란 때 쌍령전투에서 전사한 의병장 김대흥과 김대봉, 김기원, 김진원 등의 선대를 기리기 위해 재실의 용도로 건립한 건물로 정자의 기능을 겸하고 있음. 영남지방 재실의 형태로는 매우 드물게 중층으로 건립하였으며 평면구조도 흔하지 않음. 가운데 방을 두고 양 옆에 마루를 두는 형태는 호남지역에서 선호하는 방식이며 영남에서는 거의 채택하지 않음. 보물로 지정된 김천 방초정과 유사한 형태로 그 연관성 여부가 주목되는 부분임. 만취정은 주변의 경현사와 더불어 지역사의 중요한 위치에 있음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지례면 관덕길 148
  • 네이버 만취정 검색 링크
윤은보·서즐정려각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8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22-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장상익
  • 규모
  • 조성시대 조선전기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윤은보·서즐 정려각은 정려로서 김천 지역사회에서 가장 오래되었으며, 정려가 가지고 있는 교육적 가치와 역사적, 사회적 가치를 가지고 있음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지례면 교리 산68-1
  • 네이버 윤은보·서즐정려각 검색 링크
노촌이약동선생신도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14
  • 향토문화유적종류
  • 지정일자 2022-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진주강씨학암공파종중(강용규)
  • 규모
  • 조성시대 1723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노촌 이약동 선생 신도비는 1723년 사암계열의 암석으로 제작되었으며 세필의 문자가 새겨져 있는 정교한 비석으로 제작시기와 비석의 조성 목적이 분명함. 이른 시기에 건립된 비는 아니지만, 노촌의 생애와 일화를 중심으로 서술되어 있고 공에 대한 평가가 새겨져 있음. 비의 형태는 단순하나 규모가 큰 편으로 보존상태와 글자가 대체로 잘 남아 있음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하로길 142
  • 네이버 노촌이약동선생신도비 검색 링크
하로서원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18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23-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벽진이씨평정공파종중(이병권)
  • 규모
  • 조성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하로서원은 감천 원동에 청백서원이 건립되었다가 1648년 김산 자산동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경렴서원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84년에 현위치에 복원하면서 하로서원으로 개칭하였다.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하리안길 19-6
  • 네이버 하로서원 검색 링크
황금성당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6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22-01-0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대구대교구천주교유지재단
  • 규모
  • 조성시대 현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황금성당은 대구·경북에서 3번째로 지어진 성당이며, 전면 중앙에 종탑을 지닌 바실리카식 벽돌조적조 강당형 성당으로 종탑과 내부 기둥에 양식적 디테일을 잘 유지하고 있으므로 역사적, 건축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김천지역의 천주교를 전파한 본당으로서 장소성과 지역성, 공공성을 가진 사회적 가치가 있는 건축물임.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음
  • 전화번호 054-420-6817
  •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김천시 문화홍보실
  • insttNm 경상북도 김천시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학사대길 64
  • 네이버 황금성당 검색 링크

경상북도 김천시 향토문화유적 목록 설명

- 광고 -

똑똑정보찾기 로고

공연 영화 행사 베스트셀러 신간 축제 교통 공공시설 교육 정보 모음

똑똑장소찾기 앱 리스트




문의처

이메일: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