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군 향토문화유적 목록

화순군 향토문화유적 목록 및 정보

전라남도 화순군 향토문화유적 목록 지도



  • 위치가 서로 가까운 경우는 위도와 경도가 조정되어 실제 위치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자료에 위도와 경도가 기재되어 있지 않으면 지도에서 확인할 수 없습니다.

전라남도 화순군 향토문화유적 목록 표

향토문화유적명
유적종류
주소
유적구분
묘산고택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관영리 335-1
유형문화유적
능주 들소리
음악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관영리 94-9
무형문화유적
능주향교 은행나무
민속자료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교촌길 36
유형문화유적
능주향교 소장 고전적
전적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남정리 328
유형문화유적
능주 씻김굿
굿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잠정리 204-1
무형문화유적
주자묘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회덕길 14-34
유형문화유적
삼지재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고인돌2로 550
유형문화유적
양회두 가옥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달아실길 34-1
유형문화유적
옥천사목조나한상
조각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 18-1
유형문화유적
화순 대곡리 청동기출토유적
고대유적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 312
유형문화유적
도곡 구사마을 숲정이
민속자료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미곡리 26
유형문화유적
도곡 호동마을 숲정이
민속자료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신성리 산 5
유형문화유적
쌍옥리 방풍림
민속자료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쌍옥리 299-1
유형문화유적
학포선생부조묘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월곡리 562
유형문화유적
화순 월곡리 무환자나무
민속자료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월곡리 산 100-1
유형문화유적
한산정씨삼강문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율치길 14-5
유형문화유적
달성배씨효열정려문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지석로 1290
유형문화유적
도암면 나무질소리
음악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도장리 298
무형문화유적
도장마을 소장 새마을 운동 기록물
전적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도장리 298
유형문화유적
벽지리 충효사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벽동길 9-13
유형문화유적
고문서(6점)
전적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벽동길 9-13
유형문화유적
화순 예산사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복구래길 100
유형문화유적
한달문 옥중서한
전적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원천리 388-1
유형문화유적
환산정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백천로 236-1
유형문화유적
문화류씨언동사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언도리 469
유형문화유적
화순 귀후재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우평3길 23-1
유형문화유적
동복 가수리 짐대제
제의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가수리 411
무형문화유적
운암당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독상리 309-1
유형문화유적
오형석 가옥 문간채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둔동1길 37
유형문화유적
도원서원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연곡길 137
유형문화유적
천봉암현왕도
회화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대곡리 26
유형문화유적
영롱대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복교리 산 82-13
유형문화유적
유마사 보안교
불교유적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유마로 603
유형문화유적
함양박씨영추재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절산리 341-2
유형문화유적
물염정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물염로 161
유형문화유적
석불암 마애여래좌상
불교유적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영평리 898
유형문화유적
망미정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장학리 산 111-1
유형문화유적
송석정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강성리 산 88-1
유형문화유적
화순 한후정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쌍봉길 27-11
유형문화유적
쌍봉마을 당산제
제의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쌍봉리 345
무형문화유적
송병선찬학포신도비
금석문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쌍봉리 499
유형문화유적
홍양호찬학포신도비
금석문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쌍봉리 605
유형문화유적
쌍봉사 사적비
불교유적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쌍산의로 459
유형문화유적
장범루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오류안길 50-27
유형문화유적
화순 오류리 효자각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오류촌길 20
유형문화유적
선무원종공신녹권
전적
전라남도 화순군 청풍면 선하동길 56
유형문화유적
개천사 부도군
조각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가동리 산 151
유형문화유적
모의정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가봉리 621
유형문화유적
화순 부춘정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부곡리 216-3
유형문화유적
춘양면 소장 고문헌(고문서)
전적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석정리 246
유형문화유적
침수정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우봉리 368
유형문화유적
추원재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지동길 231
유형문화유적
화순 포충사지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모산리 산 15-9
유형문화유적
능성구씨충효문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정리 산69
유형문화유적
박병옥 가옥 사랑채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한계3길 29
유형문화유적
죽시장
공예기술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교리 292-8
무형문화유적
내평마을 길쌈노래
음악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내평리 191-1
무형문화유적
감결등서완문
전적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대리 37-8
유형문화유적
화순 송단 복조리 마을
공예기술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대리 37-8
무형문화유적
쌍봉사 성화십사년명기와
불교유적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대리 37-8
유형문화유적
광산이씨 청심당 이조원과 양암이복선 묘역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앵남리 산1
유형문화유적
화순 양이재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앵무동1길 172
유형문화유적
고참봉 가옥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주도길 108
유형문화유적
주도리 상촌 초가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주도리 118
유형문화유적
화순 오현당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지강로 655
유형문화유적
만연사 부도군
건조물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진각로 367
유형문화유적
만연사 나한전 인왕상
불교유적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진각로 367
유형문화유적
만연사 동종
조각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진각로 367
유형문화유적

전라남도 화순군 향토문화유적 목록 상세 정보

묘산고택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68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19-12-1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 규모
  • 조성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관영리 묘산 고택은 대정 4년(1915년) 주임채가 건립한 한옥 중 사랑채였다고 전해진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관영리 335-1
  • 네이버 묘산고택 검색 링크
능주 들소리
  • 향토문화유적구분 무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65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음악
  • 지정일자 2013-12-1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능주들소리보존회
  • 규모
  • 조성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들노래는 농군들이 벼농사를 지으면서 부르는 노래를 말하는데, 구체적으로 모심을 부르는 노래로는 늦은 상사소리와 자진 상사소리가 있고, 논매기 노래로는 초벌매기인 새우자타령와 한 벌 매기인 매화타령 그리고 마지막 굼벌 매기인 개타령, 풍장소리로 짜여져 있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관영리 94-9
  • 네이버 능주 들소리 검색 링크
능주향교 은행나무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25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민속자료
  • 지정일자 2005-01-1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능주향교 전교
  • 규모 2그루
  • 조성시대 1392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은행나무♂(숫나무)는 정문을 통하여 우측에 위치한 나무로, 흉고둘레가 600~620㎝이고 나무높이(수고)는 24m에 달하며 수관층의 지름은 14~20m로 조사되었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교촌길 36
  • 네이버 능주향교 은행나무 검색 링크
능주향교 소장 고전적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77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전적
  • 지정일자 2019-12-1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 규모
  • 조성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능주향교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전적 56종 67책은 1719년부터 1908년까지 능주향교의 양사재 운영 관련 자료와 1779년부터 1894년까지 운영된 능주향교 원접청 운영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고전적들이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남정리 328
  • 네이버 능주향교 소장 고전적 검색 링크
능주 씻김굿
  • 향토문화유적구분 무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50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굿
  • 지정일자 2010-12-2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기능전수자 조웅석
  • 규모
  • 조성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능주 씻김굿은 다른 지방과 다르다. 광주굿 7거리, 목포굿 6거리, 고흥굿 9거리, 해남굿 11거리로 대부분 간략한데 비해 능주씻김굿은 12거리나 된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잠정리 204-1
  • 네이버 능주 씻김굿 검색 링크
주자묘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53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11-12-26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신안주씨대종회
  • 규모
  • 조성시대 1905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주자묘는 조선 성리학의 근간을 이른 주자학을 성립한 주희(朱熹)를 배향하는 사당이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회덕길 14-34
  • 네이버 주자묘 검색 링크
삼지재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15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3-12-0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제주양씨삼지제종중
  • 규모
  • 조성시대 16세기중반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이 건물은 문중 재실 겸 서당으로 건립된 것으로 여겨지는 古家이다. 정면 5칸, 우측면 5칸, 좌측면 4칸의 팔작기와의 ㄷ자 단층건물로 모산마을에서 벗어나 한가한 계곡에 아름다운 경관과 함께 있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고인돌2로 550
  • 네이버 삼지재 검색 링크
양회두 가옥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6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2-07-3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양회두
  • 규모
  • 조성시대 19세기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양회두 가옥은 학포 양팽손[1488~1545]의 8대손인 양명구[1710~1794]가 건립한 가옥이다. 당시 양명구는 만석꾼의 대지주로서 양동호·양승수 가옥 등 양씨 문중의 여러 가옥 건립에도 관여하였다고 전해진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달아실길 34-1
  • 네이버 양회두 가옥 검색 링크
옥천사목조나한상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74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조각
  • 지정일자 2019-12-1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 규모
  • 조성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에 있는 옥천사에 소장되어 있는 나한상 2점은 1724년 조각승 조혜와 서행, 순민, 낭일에 의해 제작된 작품으로 18세기 불교 조각의 양식적 전래와 확산을 증명하는데 좋은 사례가 되고 있는 등 유물적 가치가 뛰어나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 18-1
  • 네이버 옥천사목조나한상 검색 링크
화순 대곡리 청동기출토유적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42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고대유적
  • 지정일자 2008-12-30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창녕조씨장양공대문중
  • 규모
  • 조성시대 청동기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화순 대곡리 유적은 1971년 8월 당시 집주인 구재천 씨가 창고의 배수로를 내면서 돌무지를 발견하고 그것을 치우는 과정에서 精文鏡(잔무늬거울) 2점, 八珠鈴(방울) 2점, 雙頭鈴 2점, 細形銅劍 3점, 銅斧(청동도끼) 1점, 削具(새기개) 1점 등 청동유물 11점이 발견된 곳이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 312
  • 네이버 화순 대곡리 청동기출토유적 검색 링크
도곡 구사마을 숲정이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20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민속자료
  • 지정일자 2003-12-0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 규모
  • 조성시대 1600년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구사(龜沙)마을 동쪽으로는 진등, 서쪽으로는 구등산(龜嶝山), 남쪽으로는 새들, 둔전보 등 제법 넓은 평야와 지석강이 흐르고 북쪽으로는 석적등(산이 바위로 이루어져 있다하여 부름)이 있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미곡리 26
  • 네이버 도곡 구사마을 숲정이 검색 링크
도곡 호동마을 숲정이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19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민속자료
  • 지정일자 2003-12-0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 규모
  • 조성시대 1500년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도곡면 신성리 호동마을은 마을 입구에 범바위가 있어 비호골 또는 범굴이라하는데 이를 한자로 虎洞마을이라 한다. 마을 서쪽으로 덕재봉이 있고 남쪽으로는 지석천이 흐르며 천변에 넓은 평야가 있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신성리 산 5
  • 네이버 도곡 호동마을 숲정이 검색 링크
쌍옥리 방풍림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39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민속자료
  • 지정일자 2008-01-09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 규모
  • 조성시대 1910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도곡면 쌍옥리 옥계마을 앞 벌판에 남북으로 300여m의 방풍림이 조성되어 있다. 방풍림은 남쪽으로 곰솔이 17주(농로) 13주(농로) 중심부에 26주, 북방향으로 4주(곡부) 11주 묘역에 소나무 3주, 곰솔 6주, 총 80주가 심어져 있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쌍옥리 299-1
  • 네이버 쌍옥리 방풍림 검색 링크
학포선생부조묘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7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2-07-3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제주양씨학포공파대종회
  • 규모
  • 조성시대 1631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이 부조묘는 학포 양팽손을 모시는 사당으로 현재는 신실 구역 강학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월곡리 562
  • 네이버 학포선생부조묘 검색 링크
화순 월곡리 무환자나무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47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민속자료
  • 지정일자 2010-01-07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월곡1리 새마을회
  • 규모 1그루
  • 조성시대 수령400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1580년경 병자호란이 끝나고 전염병이 돌자 약재로 사용하기 위해 당시 달아실 마을에 살던 제주양씨문중에서 식재한 것으로 알려진 나무이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월곡리 산 100-1
  • 네이버 화순 월곡리 무환자나무 검색 링크
한산정씨삼강문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8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2-07-3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한산정씨대종회
  • 규모
  • 조성시대 1885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이 삼강문은 정득운, 정득원, 정득원의 처 한산이씨, 정극린의 처 진주강씨, 정대학 등 5명의 충효열을 기리기 위해 고종 22년(1885년)에 세워진 삼강문이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율치길 14-5
  • 네이버 한산정씨삼강문 검색 링크
달성배씨효열정려문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9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2-07-3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달성배씨회은공파
  • 규모
  • 조성시대 1671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이 정려문은 조선 현종때 달성배씨 배승조의 아들인 배영연, 배윤덕의 효행과, 배욱의 아들 배광임의 처인 광산김씨의 열행(烈行)을 기리기 위해 1671년(현종 12년)에 정려(旌閭)한 건물이며 현재의 건물은 1992년에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지석로 1290
  • 네이버 달성배씨효열정려문 검색 링크
도암면 나무질소리
  • 향토문화유적구분 무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75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음악
  • 지정일자 2019-12-1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 규모
  • 조성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화순군 도암면에서 전해지는 나무질소리는 남자 선창자를 중심으로 남자들이 집단적으로 나무를 하러 가거나 나무를 한 짐 해가지고 산에서 내려오면서 서로간의 협동심과 단결을 위해 불렀던 노동요이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도장리 298
  • 네이버 도암면 나무질소리 검색 링크
도장마을 소장 새마을 운동 기록물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62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전적
  • 지정일자 2013-12-1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도장리민속보존회
  • 규모
  • 조성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도장마을에서 소장하고 있는 새마을 관련 자료(620건, 5,317쪽)는 도장리 내에서 작성한 문서와 외부에서 하달한 문서로 분류된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도장리 298
  • 네이버 도장마을 소장 새마을 운동 기록물 검색 링크
벽지리 충효사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2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1-07-2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밀양박씨충효사
  • 규모
  • 조성시대 1955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충효사에 배향하는 인물은 박지수로 그는 1580년(선조 13년) 무과병과에 22인 중 급제 출신자로 1592년 선조 25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가 평안도로 蒙塵을 갈 때 왕자와 대군, 장계군 등의 함경북도 피난길을 호위한 임무를 맡았었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벽동길 9-13
  • 네이버 벽지리 충효사 검색 링크
고문서(6점)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1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전적
  • 지정일자 2001-07-2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밀양박씨충효사
  • 규모 6점
  • 조성시대 조선중기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충효사 소장 고문서 6점이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벽동길 9-13
  • 네이버 고문서(6점) 검색 링크
화순 예산사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44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10-01-07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하동정씨례산사문중
  • 규모
  • 조성시대 1899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예산사는 1389년(고려 창왕1) 사헌부 장령 진현관 직제학을 역임한 묵은공(隱公) 정희(鄭熙)선생과 1469년 (조선 예종1) 의정부 좌찬성을 역임한 문절공(文節公) 정수충(鄭守忠) 선생의 도덕과 문장을 추모하기 위해 1899년 지역 유림들이 건립한 하동정씨례산사문중 사우이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복구래길 100
  • 네이버 화순 예산사 검색 링크
한달문 옥중서한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31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전적
  • 지정일자 2007-01-0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한병만
  • 규모 1개
  • 조성시대 1894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개항기 동학 농민 운동에 참가한 화순군 출신의 동학 접주 한달문의 옥중서한이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원천리 388-1
  • 네이버 한달문 옥중서한 검색 링크
환산정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35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7-01-0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유태종
  • 규모 1동
  • 조성시대 17세기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환산정은 서성리 저수지 안에 위치해 있으며 산수가 뛰어나고 앞쪽에 펼쳐진 서암산의 적벽이 장관을 이루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백천로 236-1
  • 네이버 환산정 검색 링크
문화류씨언동사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71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19-12-1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 규모
  • 조성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언동사는 삼현사라고도 하는데 원래는 1821년 건립되고 1868년 훼철되었다가 1961년 중건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건립 당시의 건축 기록이 잘 남아 있고 건조물 자체도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어 역사적, 건축적, 가치가 있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언도리 469
  • 네이버 문화류씨언동사 검색 링크
화순 귀후재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59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13-12-1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신안주씨대종회
  • 규모
  • 조성시대 1901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귀후재는 고려 고종 11년(1224년)에 남송의 학림원 학사였던 청계공 주잠이 고려로 올 때 함께 왔던 汝陽公 朱餘慶의 재실이다. 1901년(광무 5년) 4월에 상량을 하고 6월에 완공하였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우평3길 23-1
  • 네이버 화순 귀후재 검색 링크
동복 가수리 짐대제
  • 향토문화유적구분 무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17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제의
  • 지정일자 2003-12-0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 규모
  • 조성시대 1800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동복면 가수리 상가마을은 원래 가무래로 불렀다. 이전의 기록에 현천리(玄川里)로 나오는데 가무래의 뜻은 이를 보면 검은내에서 와전되어 가무래라 부르는 것으로 보인다. 지금은 가무래 위쪽에 있다하여 윗가무래라 하고 이를 한자로 쓰면서 상가(上佳)마을로 된 것이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가수리 411
  • 네이버 동복 가수리 짐대제 검색 링크
운암당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67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19-12-1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 규모
  • 조성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운암당은 운암(雲庵) 오재운(吳在運)이 그의 나이 49세인 1920년 2월에 건립한 전통 한옥의 가정집이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독상리 309-1
  • 네이버 운암당 검색 링크
오형석 가옥 문간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26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6-01-09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오형석
  • 규모 1동
  • 조성시대 19세기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오형석 가옥은 아름다운 마을 숲인 연둔리 숲정이가 있는 둔동마을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으며 원래는 모두 7동【창고(7칸), 문간채(7칸), 몸채(5칸), 뒷채(3칸), 사랑채(5칸), 행랑채(5칸), 창고(5칸)】총 37칸의 건물이 있었다한다. 문간채는 甲寅年(1974년)에 중건한 것으로 보아 건립시기는 19세기 후반(약 100년 전)에 건립된 건물로 추정된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둔동1길 37
  • 네이버 오형석 가옥 문간채 검색 링크
도원서원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4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1-07-2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최신재
  • 규모
  • 조성시대 1668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신재 최산두가 기묘사화로 이곳 동복에 귀향을 왔다가 적거 생활을 하고 나서 사망 후 135년 만인 1668년 (현종 9년)에 이 고장 유림들이 건립한 서원이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연곡길 137
  • 네이버 도원서원 검색 링크
천봉암현왕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73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회화
  • 지정일자 2019-12-1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 규모
  • 조성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화순군 사평면 대곡리에 있는 천봉암에 소장되어 있는 현황도 1점은 화기에 의하면 금호당(錦湖堂) 약효(若效, 1846 ~ 1928), 융파당(隆坡堂) 법융(法融)이 1905년 6월 초3일에 면(綿)에 채색한 작품이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대곡리 26
  • 네이버 천봉암현왕도 검색 링크
영롱대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34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7-01-0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김종표
  • 규모 1동
  • 조성시대 1587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원래 영롱대는 석교마을 앞을 흐르는 수려한 충용강(남면 주산리 , 복교리 앞을 흐르는 동복천을 임진왜란시 의병장인 김덕령 장군의 군호을 따서 선조대왕이 충용강이라고 명명하였다고 한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복교리 산 82-13
  • 네이버 영롱대 검색 링크
유마사 보안교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30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불교유적
  • 지정일자 2007-01-0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 규모 1석
  • 조성시대 19세기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보안교는 절에 들어가는 입구 계곡 위에 위치하고 있는데, 현재는 그 옆에 일주문이 지어져있다. 다리는 좁지 않은 계곡을 하나의 큰 돌로 가로질러 놓아 계곡의 동서 양편을 연결하고 있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유마로 603
  • 네이버 유마사 보안교 검색 링크
함양박씨영추재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70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19-12-1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 규모
  • 조성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영추재는 보성에서 화순(당시 동복)으로 16세기 말렵 임진왜란기에 이거한 박승윤의 묘소곁에 지은 재실이다. 상량기에 의하면 1924년에 지천 박병환이 건립한 것이다. 4칸 팔작지붕집의 재실로 잘 보존되고 있다. 건립 당시의 건축 기록이 잘 남아 있고 건물 자체도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어 역사적, 건축적, 가치가 있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절산리 341-2
  • 네이버 함양박씨영추재 검색 링크
물염정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3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1-07-2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금성나씨남강공파종중
  • 규모 1동
  • 조성시대 16세기 중엽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중종 명종대에 성균관 전적 및 구례, 풍기군수를 역임한 홍주송씨 물염(勿染) 송정순(宋庭筍)이 16세기 중엽에 건립한 정자이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물염로 161
  • 네이버 물염정 검색 링크
석불암 마애여래좌상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29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불교유적
  • 지정일자 2007-01-0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 규모 1구
  • 조성시대 1933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이 마애불은 자연암반으로 구성된 감실형태의 상단을 콘크리트로 지붕을 하고 양편은 석축을 쌓아 감실을 보강하였다. 이 마애불은 감실의 총고 225cm, 폭은 220cm 감실의 깊이는 118cm 크기의 바위표면에 불상을 새겼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영평리 898
  • 네이버 석불암 마애여래좌상 검색 링크
망미정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37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8-01-09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정채호
  • 규모 1동
  • 조성시대 1646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이 정자는 적송(赤松) 정지준(丁之寯)이 병자호란 당시 의병을 일으켜 싸운 후 이곳에 은거하며 1646년(인조 24)에 세운 정자로 알려져 있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장학리 산 111-1
  • 네이버 망미정 검색 링크
송석정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27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6-01-09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제주양씨학포공파송석정종회
  • 규모
  • 조성시대 1613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화순군 도곡면 월곡리에서 태어난 학포 양팽손의 증손인 양인용(梁仁容)은 광해군이 등극한 후 永昌大君을 강화도로 유배시키고 仁穆大妃를 서궁으로 유폐시키자 양인용은 이의 부당함을 忠諫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자 관직을 버리고 낙향하여 1613년에 건립한 정자이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강성리 산 88-1
  • 네이버 송석정 검색 링크
화순 한후정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45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10-01-07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양회인, 양동복
  • 규모 1동
  • 조성시대 1905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한후정(寒後亭)은 희암(希庵) 양재경(梁在慶,1859 ~ 1918)이 1904년 봄에 연못을 만들고 이듬해 1905 건축한 정자이다. 한후정은 논어 자한편에 나온 구절 歲寒然後 知松柏之 後凋(날씨가 추워진 후에야 소나무, 잣나무가 늦게 시듦을 알 수 있다)을 인용하여 한후정이라고 편액했다 한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쌍봉길 27-11
  • 네이버 화순 한후정 검색 링크
쌍봉마을 당산제
  • 향토문화유적구분 무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66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제의
  • 지정일자 2013-12-1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쌍봉마을회
  • 규모
  • 조성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쌍봉마을 당산제는 매년 정월 대보름날 새벽 1시부터 1시간여 동안 마을입구에 있는 당산나무에 제사를 모신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쌍봉리 345
  • 네이버 쌍봉마을 당산제 검색 링크
송병선찬학포신도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52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금석문
  • 지정일자 2010-12-2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제주양씨학포공파종회
  • 규모 1기
  • 조성시대 1907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화순군 출신 학포(學圃 梁彭孫)의 신도비는 현재 두 개가 전해지고 있다. 그 중 하나는 이양면 쌍봉리 소재 마을 앞에 세워진 송병선(宋秉璿,1836-1905) 이 지은(撰) 학포신도비(學圃神道碑)가 있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쌍봉리 499
  • 네이버 송병선찬학포신도비 검색 링크
홍양호찬학포신도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51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금석문
  • 지정일자 2010-12-2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제주양씨학포공파종회
  • 규모 1기
  • 조성시대 1907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화순군 출신 학포 양팽손(學圃 梁彭孫)의 신도비는 현재 두 개가 전해지고 있다. 그 중 하나는 이양면 쌍봉리 소재 영모당 앞에 모셔진 홍양호(洪良浩, 1724-1802) 가 지은(撰) 신도비이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쌍봉리 605
  • 네이버 홍양호찬학포신도비 검색 링크
쌍봉사 사적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38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불교유적
  • 지정일자 2008-01-09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 규모 1기
  • 조성시대 1786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이 사적비는 원래 절에서 약 150m떨어진 동쪽 산비탈에 있었으나 1995년 초 대웅전으로 들어오는 입구 우측에 이건 하였는데 차량주차의 불편 때문에 다시 최근 현재의 위치(입구 우측의 석축 상단)로 옮겼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쌍산의로 459
  • 네이버 쌍봉사 사적비 검색 링크
장범루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14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3-12-0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민회식
  • 규모
  • 조성시대 1600년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이 건물은 이양면 오류리 상촌마을 뒤편 산 중턱에 위치하고있으며 정면 3칸, 측면 1칸에 홑처마 맞배지붕의 2층 누각 형식을 취한 장범루와 ㄱ“자형의 영모재로 이루어진 곳이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오류안길 50-27
  • 네이버 장범루 검색 링크
화순 오류리 효자각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61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13-12-1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민병화
  • 규모
  • 조성시대 1929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오류리 효자각은 효자 민숭경(閔崇慶)과 민정방(閔靜邦)의 효심을 기리기 위해 1889(고종 26년, 광서 15년)에 건립되었다가 1929년(己巳年) 보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오류촌길 20
  • 네이버 화순 오류리 효자각 검색 링크
선무원종공신녹권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11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전적
  • 지정일자 2002-07-3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염규삼
  • 규모 2권
  • 조성시대 1605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선무원종공신이라 하면 임진왜란 때에 무공을 세운 정공신 이외의 공신으로 선조 38년(1605) 4월에 공신도감(功臣都監)에서 발급한 [선무원종공신녹권(宣武原從功臣錄券)]에 올려져 있는 9,060인을 말한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청풍면 선하동길 56
  • 네이버 선무원종공신녹권 검색 링크
개천사 부도군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24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조각
  • 지정일자 2005-01-1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 규모 5기
  • 조성시대 18세기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이 부도군은 개천사 입구 왼편 쪽 능선 아래에 있다. 완전한 부도는 4기이며 그 옆에 대좌와 상륜부만 남아있는 부도편이 있어 원래는 총 5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주지 전언에 의하면 1987년 당시 주지였던 희안(喜安)비구니 스님이 주변에 흩어져 있던 것을 도난이 우려되어 현재의 위치에 옮겨 놓았다고 한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가동리 산 151
  • 네이버 개천사 부도군 검색 링크
모의정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69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19-12-1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 규모
  • 조성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모의정은 1866년(고종 3년) 병인양요 때 경주김씨 산남(山南) 김인기(金仁基) 일문과 그의 동지들인 김종룡(金鍾龍), 김종천(金鍾天), 김종문(金鍾文), 홍기주(洪璣周), 윤학모(尹學模) 그리고 이웃 남평 고을의 동지들과 함께 창의할 것을 다짐한 장소를 기념하기 위해 그의 후손인 김경원(金景源)과 김병희(金秉熙)가 1867년 세운 정자로 건축적 향토사적 가치가 큰 건물이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가봉리 621
  • 네이버 모의정 검색 링크
화순 부춘정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49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10-12-2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창녕조씨문중
  • 규모 1동
  • 조성시대 1942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부춘정은 춘양면 부곡리 부춘동 입구 부춘강 다리 앞의 산 위에 있다. 단층의 팔작지붕 골기와 건물로 정면 3칸, 측면 2칸에 中齋室이 있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부곡리 216-3
  • 네이버 화순 부춘정 검색 링크
춘양면 소장 고문헌(고문서)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63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전적
  • 지정일자 2013-12-1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춘양면
  • 규모
  • 조성시대 1781년~1899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화순군의 춘양면 소장 고문헌(고문서)은 南一面과 富春面(水西面 포함)의 자치규약안 14책이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석정리 246
  • 네이버 춘양면 소장 고문헌(고문서) 검색 링크
침수정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36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8-01-09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풍산홍씨종중
  • 규모 1동
  • 조성시대 17세기말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침수정은 17세기에 활약했던 미수 허목, 윤선도의 문인이었던 홍경고(洪景古, 1645~1699)가 17세기 말에 건립하였다고 전하여지는 정자이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우봉리 368
  • 네이버 침수정 검색 링크
추원재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54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11-12-26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여흥민씨의암공파종중
  • 규모
  • 조성시대 1934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만지산여흥민씨제각이라고 불리는 추원재는 춘양면 대신리 480번지로 만지산 속에 위치해 있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지동길 231
  • 네이버 추원재 검색 링크
화순 포충사지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60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13-12-1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능주 포충사
  • 규모
  • 조성시대 1609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포충사는 임진왜란때 전라우의병장으로 각지에서 뛰어난 전공을 거두고 제2차진주성전투에서 순절한 최경회(1532~1593)를 제향한 사우이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모산리 산 15-9
  • 네이버 화순 포충사지 검색 링크
능성구씨충효문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72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19-12-1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 규모
  • 조성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한천면 정동 입구에 있는 충효각은 임진왜란 진주성 2차 싸움에서 순절한 청계(淸溪) 구희(具喜)와 병자호란 시 남한산성에서 순국한 청암(淸菴) 구석주(具碩주), 그리고 오봉(鰲峯) 구두남(具斗南), 효자 구상신(具相臣) 등 4명의 충효 정신을 정려하고 선양하기 위해 1902년에 최초 건립된 정려각으로 건물의 원형이 잘 유지하고 있어 역사적, 건축적, 향토사적 가치가 있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정리 산69
  • 네이버 능성구씨충효문 검색 링크
박병옥 가옥 사랑채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21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5-01-1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박병옥
  • 규모 1동
  • 조성시대 조선중기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寒泉面의 지명은 도덕산 아래에 있는 찬샘(源水泉, 寒泉) 이름을 따 찬샘골 또는 냉정리(冷井里)라 불렀다가, 보성에서 거주하다가 1652년에 입향한 함양박씨 박유가 자호(自號)을 한천당(寒泉堂)이라 한 이후 이때부터 마을 이름을 한천이라 했다고 전한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한계3길 29
  • 네이버 박병옥 가옥 사랑채 검색 링크
죽시장
  • 향토문화유적구분 무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57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공예기술
  • 지정일자 2011-12-26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기능보유자김형기
  • 규모 1명
  • 조성시대 1942년생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나무로 만든 화살을 죽시(竹矢)라 하며, 그 기능보유자인 김형기의 화살 만드는 기능이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교리 292-8
  • 네이버 죽시장 검색 링크
내평마을 길쌈노래
  • 향토문화유적구분 무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64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음악
  • 지정일자 2013-12-1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내평리길쌈노래보존회
  • 규모
  • 조성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길쌈은 삼베, 모시, 명주, 목화, 동식물 등을 가공하여 의복을 만들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특히 목화에서 솜을 뽑아내어 옷을 만들 수 있는 물레를 만들어 널리 보급하여 이때부터 길쌈이 성행했다고도 한다. 오늘날에서 산업화와 기계문명으로 인한 변화와 화학섬유이 수입되면서 재래식 목화 길쌈은 자취도 없이 사라져 가고 있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내평리 191-1
  • 네이버 내평마을 길쌈노래 검색 링크
감결등서완문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55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전적
  • 지정일자 2011-12-26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이정옥
  • 규모 1권
  • 조성시대 1856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완문이란 관에서 향교(鄕校, 校生), 서원(書院, 院生), 결사(結社), 촌(村, 民), 개인 등에게 발급하는 문서로서 어떠한 사실의 확인 또는 권리나 특전의 인정을 위한 관에서 발급하는 확인서, 인정서이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대리 37-8
  • 네이버 감결등서완문 검색 링크
화순 송단 복조리 마을
  • 향토문화유적구분 무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56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공예기술
  • 지정일자 2011-12-26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 규모
  • 조성시대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송단 복조리 마을은 화순군 북면 송단리에 있다. 현재는 20여 호로 농사를 주업으로 하면서 복조리는 농한기를 이용한 마을 특산물로 제작한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대리 37-8
  • 네이버 화순 송단 복조리 마을 검색 링크
쌍봉사 성화십사년명기와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58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불교유적
  • 지정일자 2011-12-26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이정옥
  • 규모 1기
  • 조성시대 1478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쌍봉사 성화14년명 기와는 가로 28㎝ , 세로 12㎝ , 두께 2㎝ 의 암막새기와이다. 기와는 회흑색을 띤 상태로 막새부위 중앙에 나란히 두 개의 원형돌기가 있고 그 돌기를 중심으로 막새의 전체를 삼등분하는 가는 선이 둘러있다. 명문은 삼등분된 막새문양 사이에 나누어 양각으로 새겨져 있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대리 37-8
  • 네이버 쌍봉사 성화십사년명기와 검색 링크
광산이씨 청심당 이조원과 양암이복선 묘역
화순 양이재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48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10-12-21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전주이씨완창대군순양군파종회
  • 규모 1동
  • 조성시대 1918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양이재(兩履齋)는 화순군 화순읍 앵남리 종괘산 밑 일명 密巖洞에 위치해 있으며 순양군(順陽君) 휘 석공(石公)을 모시기 위해 건립한 제각이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앵무동1길 172
  • 네이버 화순 양이재 검색 링크
고참봉 가옥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32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7-01-0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김판조
  • 규모 1동
  • 조성시대 1915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1880년경 제주고씨 高聖運(1857∼1936)이 영암 덕진에서 거주하다가 입향하여 장사(포목, 계란)를 하면서 제산을 모아 1915년에 건립한 건물로 알려져있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주도길 108
  • 네이버 고참봉 가옥 검색 링크
주도리 상촌 초가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33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7-01-0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유영희
  • 규모 1동
  • 조성시대 1903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주도리 상촌 초가는 근대 무렵에 지어진 서민 주택이다. 건립 연도는 종도리에 광무칠년 계묘삼월십사일(光武七年 癸卯三月十四日)이란 상량문이 있어 1903년 지어졌음을 알 수 있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주도리 118
  • 네이버 주도리 상촌 초가 검색 링크
화순 오현당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43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10-01-07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광산이씨상서공파종중
  • 규모
  • 조성시대 1877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문중의 저명한 문인 5현을 모셨다고 하여 오현당이라고 하였다. 1624년(인조 2)에 창건하였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지강로 655
  • 네이버 화순 오현당 검색 링크
만연사 부도군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16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 지정일자 2003-12-02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정과스님
  • 규모 5기
  • 조성시대 조선후기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만연사 부도군은 현재 만연사에서 서쪽으로 500여m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인근 마을 주민들의 구전에 의하면 625전 까지만 해도 이 부도전에는 지금보다도 더 많은 부도가있었다고 한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진각로 367
  • 네이버 만연사 부도군 검색 링크
만연사 나한전 인왕상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28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불교유적
  • 지정일자 2006-01-09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 규모 2구
  • 조성시대 조선후기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만연사의 나한전 건물 내부의 양편 입구에 서 있으며 기존의 전통기법을 크게 벗어나지 않은 모습을 하고 있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진각로 367
  • 네이버 만연사 나한전 인왕상 검색 링크
만연사 동종
  •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 문화유적지정번호 화순군 문화유적 제23호
  • 향토문화유적종류 조각
  • 지정일자 2005-01-15
  • 소유주체구분 사유
  • 소유자명
  • 규모 5기
  • 조성시대 1660년
  • 이미지정보
  • 향토문화유적소개 동종은 사찰에서 불교 의식에 사용되는 공예물로써 일반적으로 시간을 알리거나 또는 일반 대중 법회 때 사용되고 있다.
  • 전화번호 061-379-3176
  •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화순군청
  • insttNm 전라남도 화순군
  •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진각로 367
  • 네이버 만연사 동종 검색 링크

전라남도 화순군 향토문화유적 목록 설명

- 광고 -

똑똑정보찾기 로고

공연 영화 행사 베스트셀러 신간 축제 교통 공공시설 교육 정보 모음

똑똑장소찾기 앱 리스트




문의처

이메일: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