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는 태인 김부곤가옥, 용계서원, 사발통문 작성터 등 총 13곳의 향토문화유적이 있습니다.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위치한 향토문화유적의 주소, 유적종류, 유적소개, 전화번호를 포함한 최신 상세정보를 확인해 보세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향토문화유적 목록 지도
창 한번에 지우기
자료에 위도와 경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지도에서 표시되지 않습니다.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향토문화유적 목록 표
향토문화유적명 유적종류
주소 유적구분
사발통문 작성터 집터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고부주산길 4 기념물
동학혁명 모의탑 조각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신중리 산16 유형문화유적
동의기념비 조각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 오공리 193 유형문화유적
보화리 고택 가옥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보화4길 16-7 민속자료
태산사 건조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 탑립1길 34 유형문화유적
모충사 건조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 대칠길 20-5 유형문화유적
전봉준 단비 조각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 창동리 산 10-16 유형문화유적
만석보혁파선정비 조각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 하송리 677-15 유형문화유적
용계서원 건조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동편길 41-3 유형문화유적
한정 건조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원촌1길 14-10 유형문화유적
필양사 건조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원촌1길 14-16 유형문화유적
태인 김부곤가옥 가옥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거길 16 민속자료
일재 이항선생 유허비 조각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서리 399-1 유형문화유적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향토문화유적 목록 상세 정보
향토문화유적구분 기념물
문화유적지정번호 제6호
향토문화유적종류 집터
지정일자 2016-07-26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김충남
규모 일원
조성시대 1893년
향토문화유적소개 1893년 11월 전봉준을 비롯한 20여명이 모여 사발통문을 작성했던 집이었으나 1894년 1월 동학농민혁명 1차 봉기 후 안핵사 이용태가 이끈 관군에 의해 불에 타 전소되었다. 후에 재축하였으며 현재의 건물은 정면5칸의 목조건물로 지붕은 당초 초가였으나 칼라강판으로 개조하였다. 사발통문은 가로48.5㎝
전화번호 063-539-6936
관리기관명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청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고부주산길 4
네이버 사발통문 작성터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제7호
향토문화유적종류 조각
지정일자 2016-07-26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임창욱
규모 1기
조성시대 1969년
향토문화유적소개 사발통문 작성자 후손들이 건립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쌀1가마씩을 각출하여 1969년 12월 4일 사발통문이 발견된 마을입구 언덕에 사발통문이 동학농민혁명의 사발이었음을 알리기 위해 세웠다. 5단의 화강석 기단위에 높이 3m규모의 탑으로 전면에는 동학혁명 모의탑이라는 글자가 한자로 새겨져 있고 전면 좌우 모서리에는 대나무를 조각하였다. 양 측면과 후면에는 사발통문에 서명한 20명의 생몰연대와 그 후손들의 거주지 등이 기록되어 있다.
전화번호 063-539-6936
관리기관명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청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부면 신중리 산16
네이버 동학혁명 모의탑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제8호
향토문화유적종류 조각
지정일자 2016-07-26
소유주체구분 국유
소유자명 정읍시
규모 1기
조성시대 1898년
향토문화유적소개 고부군수 조병갑의 수탈의 구실이며 크게는 반봉건 의미를 담은 만석보 철거는 매우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만속보 철거 요구는 당시 백성들의 민심을 헤아릴 수 있는 동시에 이들의 요구를 거절할 수 없을 정도로 백성들의 의식이 커졌음을 의미하며 결국 신임 고부군수 안길수로 하여금 민심수습을 위해 철거를 결심할 수 밖에 없게 만든 정치적 사건이었다.1894년 동학농민혁명 당시 농민들은 고부관아를 점령한 뒤 수탈의 구실이었던 만석보를 부수었는데
전화번호 063-539-6936
관리기관명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청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 하송리 677-15
네이버 만석보혁파선정비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제1호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지정일자 2005-11-09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도강김씨훈도공파종중
규모 1동
조성시대 1920년
향토문화유적소개 조선 중종때 김약회가 태학관에 있다가 사화로 세상이 어지러워지자 고향으로 내려와 지은 정자이다. 정유재란때 병화로 불에 탔는데 1920년 후손이 다시 지었다
전화번호 063-539-6936
관리기관명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청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원촌1길 14-10
네이버 한정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제2호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지정일자 2005-11-09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김효기
규모 일원
조성시대 1945년
향토문화유적소개 1910년 일본 황제의 은사금을 거절하고 이로 인하여 군산 감옥에서 순절한 항일애국지사인 춘우정 김영상의 유덕을 추모하기 위해 1945년 유림들의 발의로 창건하였다
전화번호 063-539-6936
관리기관명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청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원촌1길 14-16
네이버 필양사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민속자료
문화유적지정번호 제13호
향토문화유적종류 가옥
지정일자 2016-12-21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김금숙
규모 일원
조성시대 1940년
향토문화유적소개 태인 3.1운동에 참여했던 독립운동가 김부곤이 1920년대 건립한 정면5칸 측면3칸 한옥으로 원형이 잘 남아 있으며
전화번호 063-539-6936
관리기관명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청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거길 16
네이버 태인 김부곤가옥 검색 링크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문화유적지정번호 제10호
향토문화유적종류 조각
지정일자 2016-07-26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이희산
규모 1기
조성시대 1749년
향토문화유적소개 호남성리학의 거두 일재 이항 선생이 41세에 한양에서 이주하여 78세로 생을 마칠때까지 살았던 곳에 1749년 유허비를 세웠다.비문은 유숙기(금구현감
전화번호 063-539-6936
관리기관명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청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서리 399-1
네이버 일재 이항선생 유허비 검색 링크